정전 협정

연구분야 : B200600 사회과학 > 군사학 > 전쟁론

클래스 : 경제경영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278

한자 : 停戰協定

d02-03 경제경영제도

목적_t

전투를 중단하기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정전 [ 停戰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전후법 [ 戰後法 ]

천안함 침몰과 연평도 포격 그리고 국제형사법원

The Sinking of Cheonan Warship, Shelling of Yeonpyeong Island and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외법논집 | 35 | 2 | 2011 | 법학

DMZ에 관한 남북한 논의 변천과 향후 과제

Development of discussions on DMZ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awaiting task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DMZ에 관한 남북한 논의 변천과 향후 과제

Development of discussions on DMZ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awaiting tasks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전쟁기간 중국의 군비지출과 대북지원

Chinese military spending and assistance to North Korea in the Korea War

통일인문학 | 52 | 2011 | 기타인문학

남북한 군사전략 구도 하의 한반도 평화체제 이행과 그 대비

Switching over from Armistice Agreement System to Peace Agreement System in Korean Peninsular and It’s Preparation under the Planning of Military Strategy of Two Koreas

동북아연구 | 26 | 1 | 2011 | 국제관계/협력

북한의 해상사격구역 선포와 해안포사격-배경 및 의도 분석과 법적 평가-

A Study on Designation of Naval Firing Zones and Artillery Barrage by North Korea

국방연구 | 53 | 1 | 2010 | 정책학

북한의 해상사격구역 선포와 해안포사격-배경 및 의도 분석과 법적 평가-

A Study on Designation of Naval Firing Zones and Artillery Barrage by North Korea

국방연구 | 53 | 1 | 2010 | 정책학

서해 북방한계선(NLL) 재론: 연평도 포격사건을 계기로

The Northern Limit Line(NLL) and North Korean Artillery Attack

민주법학 | 45 | 2011 | 법학

전시 민간인 납치의 국제인도법적 고찰 ― 6.25 전쟁시 북한의 민간인 납북행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Kidnapping Civilians in Time of War in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Perspective: Especially Focused on North Korean Abduction of South Koreans during the “June 25 Korean War”

서울국제법연구 | 18 | 1 | 2011 | 기초법

DMZ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국제환경법적 고찰

A Study on the Peaceful Use of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국제법평론 | 32 | 2010 | 국제/해양법

DMZ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국제환경법적 고찰

A Study on the Peaceful Use of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국제법평론 | | 32 | 2010 | 국제/해양법

북한과의 평화체제 구축방안 - 민족내부거래를 통한 원조 방식의 연장선에서

Peace Regime building with North Korea

법학연구 | 22 | 1 | 2011 | 법학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전략 | 10 | 1 | 2010 | 북한정치/통일

한국전쟁 종결의 부정의

The Injustices in the Settlement of the Korean War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한국전쟁 종결의 부정의

The Injustices in the Settlement of the Korean War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한반도 평화협정에 대한 중국 담론

Chinese perspectives on shaping of Korean peace treaty

Oughtopia (오토피아) | 26 | 3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전후법(jus post bellum)으로서 정전협정의 역할과 한계

The Role and Limitation of Korean Armistice Treaty as a Jus Post Bellum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전후법(jus post bellum)으로서 정전협정의 역할과 한계

The Role and Limitation of Korean Armistice Treaty as a Jus Post Bellum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구상과 인천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Zone of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West Sea” Initiative and the Role of Incheon

인천학연구 | 1 | 16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