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연구분야 : B200600 사회과학 > 군사학 > 전쟁론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5813

STNet ID : 9001870

한자 : 停戰
영어 : ceasefire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전쟁 () [ 戰爭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정전 협정 [ 停戰協定 ]

개화기 독본과 근대 서사의 형성

Basic Readers and the Formation of Modern Narrative in the Enlightenment Era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과 ‘교양’ 독자

University and “Cultured” Readers in the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묻혀진 <심청전> 정전화의 계보 -알렌(H. N. Allen), 호소이(細井肇), 게일(J. S. Gale) <심청전> 번역본의 연대기-

Genealogy of canonization of forgotten - Chronology of translated versions by H. N. Allen, Hosoi Hazime, and J. S. Gale -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Historical Process of Class Organization 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Forming ‘Class of Reading Classic’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어국문학’ 과목 편제와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

Historical Process of Class Organization 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Forming ‘Class of Reading Classic’ in the university during 1950's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국어 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Korean Textbooks and the Construction of Memory -focusing on Junior High Korean Textbooks from the Liberation Era to the Postwar Era-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Korean Textbooks and the Construction of Memory -focusing on Junior High Korean Textbooks from the Liberation Era to the Postwar Era-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탈식민주의 문학교육과 이병주의 <관부연락선>

Post-colonial Literature Education and Lee Byung-Ju'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북조선의 정전, 한설야의 「승냥이」 재론

Rediscussion of Han Sulya’s A Korean Wolf, the canon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North Josun)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전쟁기 김동리 소설 연구 (1) -서지 사항 확인과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DONG-REE KIM’s Short Stories and Novels in the Korean War(1)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고전문학전집의 간행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Review on Publication Trends of Collections of Korea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독일의 국어교육에서 문학작품의 선별 기준과 정전(正典) 문제

Studies on Utilization of Literary Canons and Criteria for Selecting Literature used in German Language Class in Germany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漢詩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Ⅰ) - 중학교 『漢文』 교과서 한시 텍스트의 수록 양상 분석 -

Level and scope of Chinese Poem Text (Ⅰ) - Analysis on the aspect of Chinese Poem Text included in the Chinese 『漢文』 textbook of middle school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속요(高麗俗謠)의 외국어 번역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assignment of KoryeoSogyo's translation

우리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문학제재 활용 방안과 관련하여

Educa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Utilizing Storytelling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문학제재 활용 방안과 관련하여

Educa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Utilizing Storytelling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조선족 문학의 위상과 한․중 문학교육 연구 ― 윤동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Chinese Literature's Status and Literature Education of Korea-China ― Focus on Yoon Dongjoo

국어교육연구 | 25 | 2010 | 국어교육

조선족 문학의 위상과 한․중 문학교육 연구 ― 윤동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Chinese Literature's Status and Literature Education of Korea-China ― Focus on Yoon Dongjoo

국어교육연구 | | 25 | 2010 | 국어교육

한국 현대 시조의 위상과 ‘2차 시조부흥운동’

The status of Korean modern Sijo(時調) and ‘the 2nd Sijoh renaissance campaign’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라 성덕왕대 균전적(均田的) 토지제의 시행과 체제정비

A study on Enforcement of Gyunjeonje(均田制) and Improvement of Governance in the reign of King Seongdeok(聖德王) of Silla dynasty

한국학논총 | 35 | 2011 | 역사이론

백석 시집 『사슴』의 시편을 읽는 또 하나의 방법

Rereading the Works of 『Deer』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셰익스피어극의 현대성과 르네상스 발라드

The Modernity of Shakespearean Plays and Renaissance Ballad

Shakespeare Review | 46 | 4 | 2010 | 영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 ‘심화 선택’ 체제 개편 방향

On the System of the Advanced and Optional Subject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 ‘심화 선택’ 체제 개편 방향

On the System of the Advanced and Optional Subject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의 조선 불교미술 조사와 복원- 한국 불교미술 연구의 출발점 -

The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Joseon Buddhist Ar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일제강점기의 조선 불교미술 조사와 복원- 한국 불교미술 연구의 출발점 -

The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Joseon Buddhist Ar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다문화주의적 사회를 위한 ‘지역 정전’ 확립과 필리핀계 미국인 작품 읽기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Canon’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Reading of Filipino American Literary Texts

영미문학교육 | 15 | 1 | 2011 | 영어와문학

국민국가를 넘어서 또는 국민국가 사이에서: “영문학”의 정전과 선집 그리고 문학사의 정치

Beyond National Literary History or Between National Literary Histories?: The Politics of Canon and Anthology in English Literature

영미문학교육 | 14 | 2 | 2010 | 영어와문학

국민국가를 넘어서 또는 국민국가 사이에서: “영문학”의 정전과 선집 그리고 문학사의 정치

Beyond National Literary History or Between National Literary Histories?: The Politics of Canon and Anthology in English Literature

영미문학교육 | 14 | 2 | 2010 | 영어와문학

정전(正典) 개념의 확장을 통한 교과서 검토 - 고등학교 검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f Textbooks through Expanding the Concept Canon - Focusing on 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High School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1 | 2011 | 국어교육

시교육 정전 체계의 양상과 대안

System and Alternative of Canon’s Structure in Poetry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5 | 2012 | 국어교육

『동아일보』와 시조 정전

Dongailbo and Shijo Canon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개정 고등학교 교과서 서정 제재 연구

A Study on Lyric Material in Revised Korean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정전 (연구)의 새로운 지평: 정전성의 정치학

The New Horizon of Canon Studies: the Politics of Canonicity

민족문화연구 | 55 | 2011 | 기타인문학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The Modern Reperception and Canoniz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

민족문화연구 | 55 | 2011 | 기타인문학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and the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and the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불교 100년, 경전 주석의 현황과 과제

The Situation and Prospects for the Scriptual Authority in the 100th anniversary of Won-Buddh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7 | 2011 | 원불교학

정약용의 전제개혁론의 역사적 맥락

The historical meanings of Chong Yak-yong's land reform theory

韓國史學報 | 47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