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장경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49

한자 : 高麗大藏經
영어 : Tripitaka Koreana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해인사대장경판 (경판) [ 海印寺大藏經板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초조대장경 [ 初雕大藏經 ]

RT (관련어)

 

 

속장경 [ 續藏經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고려시대 () [ 高麗時代 ]

RT (관련어)

 

 

불경 [ 佛經 ]

한역 대장경의 음역어로 파생된 문제 사례

Several Problems Caused by TransliteratedWords in Chinese Tripitaka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高麗大藏經에 나타난 悉曇梵字에 대하여

A Study on Sil-dam-bum-ja Represented in the Tripiṭka Koreana

인도철학 | 32 | 2011 | 철학

화엄사 화엄석경의 판독과 조합 시론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고려대장경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의 방안

A Study on the Cultural Values and Application Plans of Tripitaka Koreana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7 | 1 | 2011 | 응용불교학

『잡보장경』과 중한 민간이야기 관련 양상 연구

A Probe into the Links between Sino-Korean Folktales and Zabaozhangjing

대각사상 | 16 | 2011 | 불교학

고려대장경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as Cultural Content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고려대장경, 현재의 의미와 미래의 가치 ─문화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A Cultural Interpretation on the Current and Future Worth of the Tripitaka Koreana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조선시대 『고려대장경』의 印經과 海印寺

The Tripitaka Koreana publication of Haein-sa Temple During the Joseon Dynasty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고려대장경 조조(彫造)의 동기 및 배경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Motives and Background of Making Goryeo-Daejanggyeong(Tripitaka Koreana)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고려대장경 조조(彫造)의 동기 및 배경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Motives and Background of Making Goryeo-Daejanggyeong(Tripitaka Koreana)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oryeo Daejanggyeong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고려시대 대장경·문집·고문서 자료의 정보화 현황과 전산화 방안

A Study on the Method of Computerization about the Tripitaka(大臧經) & Miscellany(文集) & Historical Manuscripts(古文書) that was written at Period of the Goryeo Dynasty(高麗王朝)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고려대장경의 해인사 이운 시기와 경로

The Timeline of How the Tripitaka Koreana Was Brought To Haeinsa Temple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고려대장경>의 불교문화콘텐츠 활용 방향

Utilized as a Buddhist cultural content of the

동아시아불교문화 | 7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