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조대장경

연구분야 : A020102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사상사(역사학)
A081200 인문학 > 불교학 > 불교문헌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975

STNet ID : 9009559

한자 : 初雕大藏經

y02-01 문헌명

시대1

고려시대 (高麗時代)

장르/유형

대장경 (大藏經)

저작년_t

1011-1087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난젠사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부인사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보국 [ 輔國 ]

R1:개념적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해인사대장경판 (경판) [ 海印寺大藏經板 ]

RT (관련어)

 

 

고려대장경 () [ 高麗大藏經 ]

고고자료로 본 부인사지의 현황과 변화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of Buinsa Temple Based on The Archeological Sources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고고자료로 본 부인사지의 현황과 변화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of Buinsa Temple Based on The Archeological Sources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符仁寺藏 『高麗大藏經』의 호칭과 조성

A Wood Engraving and Appellation of the Buinsajang(符仁寺藏) GoryeoDaejangkyoung(高麗大藏經)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符仁寺藏 『高麗大藏經』의 호칭과 조성

A Wood Engraving and Appellation of the Buinsajang(符仁寺藏) GoryeoDaejangkyoung(高麗大藏經)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고려대장경 조조(彫造)의 동기 및 배경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Motives and Background of Making Goryeo-Daejanggyeong(Tripitaka Koreana)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고려대장경 조조(彫造)의 동기 및 배경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Motives and Background of Making Goryeo-Daejanggyeong(Tripitaka Koreana)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총론: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General Agenda:The First Tripitaka of Goryeo and Bu-in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총론: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General Agenda:The First Tripitaka of Goryeo and Bu-in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고려대장경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의 방안

A Study on the Cultural Values and Application Plans of Tripitaka Koreana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7 | 1 | 2011 | 응용불교학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The Invasion of Mongol and the Loss of the Tripitaka at Buin Buddhist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The Invasion of Mongol and the Loss of the Tripitaka at Buin Buddhist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