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사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7724

한자 :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팔공산 [ 八公山 ]

고고자료로 본 부인사지의 현황과 변화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of Buinsa Temple Based on The Archeological Sources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고고자료로 본 부인사지의 현황과 변화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of Buinsa Temple Based on The Archeological Sources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The Invasion of Mongol and the Loss of the Tripitaka at Buin Buddhist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몽고 침입과 부인사 대장경의 소실

The Invasion of Mongol and the Loss of the Tripitaka at Buin Buddhist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총론: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General Agenda:The First Tripitaka of Goryeo and Bu-in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총론:고려시대 초조대장경과 부인사

General Agenda:The First Tripitaka of Goryeo and Bu-in Temple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고려전기 부인사의 위상과 初雕大藏經板 소장 배경

The Prestige of Booin Temple and Its Having The Ⅰst Wooden Buddhist-Sutras-Collection(初雕大藏經板) in Early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고려전기 부인사의 위상과 初雕大藏經板 소장 배경

The Prestige of Booin Temple and Its Having The Ⅰst Wooden Buddhist-Sutras-Collection(初雕大藏經板) in Early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