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속성

연구분야 : A11021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문학비평(국문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535

STNet ID : 1000940

한자 : 通俗性
영어 : popularity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대중성 [ 大衆性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파 소설 () [ 新派小說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사이네테 [Sainete]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통속 희극 [ 通俗 喜劇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대중 예술 [ 大衆藝術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재자 가인 소설 () [ 才子佳人小說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경음악 [ 輕音樂 ]

1970년대 초 농촌근대화 담론과 그 소설적 굴절 -이병주와 이문구를 중심으로

THE DISCOURSE OF THE RURAL MODERNIZATION IN THE EARLY 1970’S AND THE REFRACTION OF THE DISCOURSE THROUGH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70년대 초 농촌근대화 담론과 그 소설적 굴절 -이병주와 이문구를 중심으로

THE DISCOURSE OF THE RURAL MODERNIZATION IN THE EARLY 1970’S AND THE REFRACTION OF THE DISCOURSE THROUGH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옥쌍기(花玉雙奇)」의 창작경로와 소설사적 의의

Abstract of Hwaokssanggi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옥쌍기(花玉雙奇)」의 창작경로와 소설사적 의의

Abstract of Hwaokssanggi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세책 <옥루몽> 동양문고본에 대하여

About a lending library of at the library of DongYangMunGo(東洋文庫)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수매청심록>의 창작 방식과 의도

A study on method of creating Sumaecheongsimrok and its meaning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漢文小說에 나타난 ‘忠ㆍ孝ㆍ烈’의 구현양상 연구

A study on ‘chung(loyalty)ㆍhyo(filial piety)ㆍyeol(devotion)’ showed in sino-chinese koren novels in the 19th century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漢文小說에 나타난 ‘忠ㆍ孝ㆍ烈’의 구현양상 연구

A study on ‘chung(loyalty)ㆍhyo(filial piety)ㆍyeol(devotion)’ showed in sino-chinese koren novels in the 19th century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紅樓夢子弟書《露淚緣》的藝術特色

중국어문학지 | 38 | 2012 | 중국어와문학

이청준의 <원무>에 나타난 신문 연재소설의 서사 문법과 작가의 비판 의식

The Narrative Grammars of a Serial Novel in a Newspaper and the Author’s Criticism in Lee Cheong-Jun’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악행(惡行)의 서사화 방식과 진지성의 문제 —<현몽쌍룡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ay Villain Characters' Improper Conducts are Narrated and Its Connection to Popular Tastes in Hyunmongssangryonggi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제국의 취향, 전시되는 ‘아리랑’ ―식민지 ‘아리랑 엽서’의 성격과 의미

The Taste of the Empire, “Arirang” on the Exhibition ―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Arirang postcard” under Japanese rule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

김동리의 장편소설 『사반의 십자가』 연구 -형식미학적 특질과 주제의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Kim Dong-Ri's novel, 『Saban's Cross』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동리의 장편소설 『사반의 십자가』 연구 -형식미학적 특질과 주제의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Kim Dong-Ri's novel, 『Saban's Cross』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