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조 <구의산>의 <조생원전> 개작 양상 연구
The Study on Aspects of Adaptation Yi-Hae-Jo's from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Negotiation Aspects of Yi Hae-Jo's and Chosun Dynasty-Novels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해조의 <소양정>과 고전소설의 교섭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Negotiation Aspects of Yi Hae-Jo's and Chosun Dynasty-Novels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공감과 소통
The Communication and the Sympathy of the Classical Poetry in the Mass media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병주 소설의 엑조티즘과 대중의 욕망
An Exoticism in the novel of Byung Joo Lee and Desire of public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1980년대 실험연극의 담론 연구 : 마당극의 연극적 양식화 및 서사극 수용을 중심으로
A Study of Discourses of Korean Experimental Theater in the 1980s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씨전>의 통속화 양상과 그 사회적 의미
A Study on the Aspects and Social Meanings of the Popularity(通俗化) i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씨전>의 통속화 양상과 그 사회적 의미
A Study on the Aspects and Social Meanings of the Popularity(通俗化) i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하윤의 번역과 시 창작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I Ha-yoon’s Translations and Poetry Writing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엉클 톰스 캐빈]과 [검둥의 설움]의 간격
Gap between Uncle Tom’s Cabin and Geomdung ui Seorum (Sorrow of a Nigger)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月刊野談』을 통해본 윤백남 야담의 대중성
Through 『Monthly Yadam』 of the popularity of Yun, Baek-Nam's Yadam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권주가>에 대한 일고찰 —노랫말 존재양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Kwonjooga —Focused on the Aspect of recording lyrics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말봉의 『佳人의 市場』 개작과 여성운동
A Adaptation to Kim Mal-Bong's 『Cain's Market』 and Liberation for Female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꿈>의 각색과 그 의미 - 이광수의 소설, 오영진의 시나리오, 신상옥의 영화를 중심으로 -
The Adaptation of and It's Meanings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세책 <옥루몽> 동양문고본에 대하여
About a lending library of at the library of DongYangMunGo(東洋文庫)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1950년대 라디오 프로그램 - 「KBS 무대」의 위치와 작품 특성
The Position and work Quality of a Radio Programs “KBS Stage” in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라디오 프로그램 - 「KBS 무대」의 위치와 작품 특성
The Position and work Quality of a Radio Programs “KBS Stage” in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큐멘터리의 극미학적 효과와 대중성 —<북극의 나누크>와 <워낭소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Dramatic Aesthetics and Popularity in Documentaries: Focused on Nanook of the North and Old Partner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다큐멘터리의 극미학적 효과와 대중성 —<북극의 나누크>와 <워낭소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Dramatic Aesthetics and Popularity in Documentaries: Focused on Nanook of the North and Old Partner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식민지 조선에서의『만엽집』수용 양상 -서두수와 김억의『만엽집』번역을 중심으로-
How『Mannyousyuu』was Accepted During Chosun Dynasty's Colonial Period -『Mannyousyuu』centrally translation from Seo Doo Soo and Kim Ok-
일본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잡지 『신천지』의 매체 전략과 문학
Media Strategy and literature of a journal 『Shincheonji』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잡지 『신천지』의 매체 전략과 문학
Media Strategy and literature of a journal 『Shincheonji』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화체를 수용한 사설시조와 그 실현양상
The realizations on the persona of dramatic speaker in Saseol-sijo
국학연구론총 |
9 |
2012 |
기타인문학
『줄리어스 시저』에 나타난 설득 기술
The Arts of Persuasion in Julius Caesar
영어영문학연구 |
53 |
1 |
2011 |
영어와문학
구활자본 <적성의전>의 두 연원에 대하여
Two origins of printed books of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구활자본 <적성의전>의 두 연원에 대하여
Two origins of printed books of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전우치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The Study on Popularize Aspects and Its Meanings in the Novel-history in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역사극의 시학에 대한 소고-함세덕의 <낙화암>을 중심으로
On the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Ham Se-duk's Nakhwaam
드라마 연구 |
32 |
2010 |
연극이론
역사극의 시학에 대한 소고-함세덕의 <낙화암>을 중심으로
On the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Ham Se-duk's Nakhwaam
드라마 연구 |
|
32 |
2010 |
연극이론
박완서 소설의 대중성 연구-1980년대 여성문제 소설 다시 읽기
Study on the Popularity in Park Wanseo’s Novels the Re-reading of Park Wanseo’s Feminism Novels in 198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에서 재현된 ‘역사적 진실’
Historical Truth in the 「Passion of Christ」
인문콘텐츠 |
19 |
2010 |
기타인문학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에서 재현된 ‘역사적 진실’
Historical Truth in the 「Passion of Christ」
인문콘텐츠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세책본 고소설의 성립 연원과 제작 방식에 대하여 -향목동 세책본 <적성의전>(1915)을 중심으로-
The origin and the way of production of lending library -focused on the (1915)-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세책본 고소설의 성립 연원과 제작 방식에 대하여 -향목동 세책본 <적성의전>(1915)을 중심으로-
The origin and the way of production of lending library -focused on the (1915)-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역사소재 대중극 연구 -김춘광, 박로아의 희곡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pular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in the Era of Liberation
한국연극학 |
1 |
44 |
2011 |
연극
2000년 이후, 프랑스 영화 시장에서의 한국영화현황 - 프랑스 영화계에서의 한국영화위상과 대비된 상업시장에서의 대중성 결여
한국프랑스학논집 |
7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대중성의 확대와 변형 - 1950년대 박계주의 신문연재소설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진보적 대중여성운동의 연속성과 변화 - 한국여성민우회 활동을 중심으로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Progressive and Popular Women’s Movement, Korea Womenlink
기억과 전망 |
25 |
2011 |
사회학
역사의 대중화, 문학의 대중화 -이광수 <마의태자>를 중심으로-
Popularization of History,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Focusing on Gwang-su Lee-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남한 문학전집의 출현과 문학정전화의 욕망 ― 민중서관 <한국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The completed works of South Korea in the 1950s and Desire for Literary Canonization - focusing on Korean Literature Treasury by Minjung publishing company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남한 문학전집의 출현과 문학정전화의 욕망 ― 민중서관 <한국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The completed works of South Korea in the 1950s and Desire for Literary Canonization - focusing on Korean Literature Treasury by Minjung publishing company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 문화콘텐츠의 현재성과 대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rrent and Popular Elements of Japanese Culture Contents
한국학연구 |
37 |
2011 |
기타인문학
십자가 장신구의 대중화를 위한 상품화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Possibility for the Popularization of Cross Jewelry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십자가 장신구의 대중화를 위한 상품화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Possibility for the Popularization of Cross Jewelry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1 |
2010 |
디자인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 연구 -과학소설로서의 면모와 지배이데올로기 투영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Mun Yun Seong’s 『Complete Society』 (1967) - Focused on features as a SF and reflection of ruling ideology
국어문학 |
52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말봉의 장편소설 연구 ― 1945-1953년까지 발표된 소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im Mal-Bong's Novels
한국사상과 문화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유충렬전>의 감성과 가족주의
The Emotions and Familism of Yuchungreoljeon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유충렬전>의 감성과 가족주의
The Emotions and Familism of Yuchungreoljeon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
『조광』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How To Study Jogwang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광』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How To Study Jogwang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별건곤≫의 영화담론 연구
Study of Movie discourse in Beolgeongon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별건곤≫의 영화담론 연구
Study of Movie discourse in Beolgeongon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야담 연구의 대중화 방안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f the Research on Yadam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병주 소설의 대중성과 서사전략 연구-『행복어사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blicity and Description Strategy in the novels of Byung Ju Lee-Focused on 『The Dictionary of Language for Happiness』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1 |
기타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