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감찬 일생의 문학적 演變 양상과 그 의미 - <姜邯贊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terary amplification shape and it's Meaning of Kanggamchan's lifetime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초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 - 『고려사』·『고려사절요』를 중심으로 -
The perception of Jeong Mong Ju in the begining of Chosun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고려․조선-明 관계 외교문서의 정리와 분석 -『吏文』,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소재 문서를 중심으로-
Comparison and Analysis on Diplomacy Documents of Imun with Goryeo-sa, Joseon Silrok between Goryeo, Joseon and Ming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28 |
2010 |
역사학
고려․조선-明 관계 외교문서의 정리와 분석 -『吏文』,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소재 문서를 중심으로-
Comparison and Analysis on Diplomacy Documents of Imun with Goryeo-sa, Joseon Silrok between Goryeo, Joseon and Ming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
28 |
2010 |
역사학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Circulation of the ‘Hyo(孝)’ subject narrative in the age of the Koryeo and the early Morning Calm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Circulation of the ‘Hyo(孝)’ subject narrative in the age of the Koryeo and the early Morning Calm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文世의 장편 창가 <高麗寺歌> 연구
On the new works of Changga(唱歌),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외교문서의 양상과 수사학
An Aspect of Diplomatic Documents in Koryo Period and Rhetoric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외교문서의 양상과 수사학
An Aspect of Diplomatic Documents in Koryo Period and Rhetoric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초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 - 『고려사』·『고려사절요』를 중심으로 -
The perception of Jeong Mong Ju in the begining of Chosun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圃隱 鄭夢周의 선비精神
The Scholarly Spirit of Poeun Jeong Mong-j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圃隱 鄭夢周의 선비精神
The Scholarly Spirit of Poeun Jeong Mong-j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고려사 편년화와 고려실록 체제의 재구성
The Recording Chronologically of GoryeoSa and the Reconstitution of the System of GoryeoSilok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高麗史』 「辛禑傳」의 편찬방식과 자료적 성격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inting Methods of ‘Shinwoojeon(辛禑傳)’ of Goryeosa(History of Goryeo, 『高麗史』)
韓國史學報 |
48 |
2012 |
역사학
『高麗史』에 나타나는 宋商과 宋都綱 -特히 宋都綱의 性格 解明을 中心으로-
Characteristics of Songshang(宋商) and Songdugang(宋都綱) presented in the Koryosa(高麗史)
전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조선인과 중국인이 남긴 고려관련 기록과 그 의미
The Records of Goryeo Dynasty in Yuan(元) and Joseon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北宋代 使行 旅程 行路考 ― 宋 入境以後를 中心으로 ―
北宋代 使行 旅程 行路考
동양사학연구 |
114 |
2011 |
역사학
고려사를 통해 본 한국 중세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The Natural hazards and Drought Periodicity during the Medieval times in Korea Based on the History of Goryeo(Goryeosa)
한국지형학회지 |
17 |
4 |
2010 |
지리학
고려사를 통해 본 한국 중세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The Natural hazards and Drought Periodicity during the Medieval times in Korea Based on the History of Goryeo(Goryeosa)
한국지형학회지 |
17 |
4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