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운동

연구분야 : B020506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외교/안보/통일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552

한자 : 統一運動
영어 : unification movement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성균관대학교 [ 成均館大學校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서울대학교 () [ --大學校 ]

‘88선언’ 전후시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의 통일운동과 제 세력의 통일운동 전개

The Unification Movement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and the Unification Activities of Several Groups ‘88 Declaration'

한국기독교와 역사 | 32 | 2010 | 교회사

‘88선언’ 전후시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의 통일운동과 제 세력의 통일운동 전개

The Unification Movement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and the Unification Activities of Several Groups ‘88 Declaration'

한국기독교와 역사 | | 32 | 2010 | 교회사

고은의 ≪백두산≫에 나타난 망각과 기억의 서사

A study on the Narrative as forgetting and remembering in Baekdusan by Ko un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은의 ≪백두산≫에 나타난 망각과 기억의 서사

A study on the Narrative as forgetting and remembering in Baekdusan by Ko un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4·18고대생시위 주체의 정체성과 사회운동 전개 -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

The Identity of KU Student Movement’s Leaders and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 Based on Oral History Data -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18고대생시위 주체의 정체성과 사회운동 전개 -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

The Identity of KU Student Movement’s Leaders and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 Based on Oral History Data -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4월 혁명과 한국의 민족주의

April Revolution and Korean Nationalism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오사카 원 코리아 페스티벌: 통일운동에서 다문화 공생의 장으로

One Korea Festival, Osaka: From an Unification Movement to Coexistence

재외한인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4월혁명 직후 학생운동의‘후진성’ : 극복 지향과 동요

The Student Movement after the April Revolution, and Their Aspiration to Overcome the ‘underdeveloped nature’ of the Korean Society

기억과 전망 | | 22 | 2010 | 사회학

동학의 민족통일론 연구 - 동귀일체 통일론

A theory of reunification of DongHak and Dong-gwi-il-che

동학학보 | 20 | 2010 | 역사학

동학의 민족통일론 연구 - 동귀일체 통일론

A theory of reunification of DongHak and Dong-gwi-il-che

동학학보 | | 20 | 2010 | 역사학

4월항쟁기 부산지역 통일운동의 탈지역성

Delocality of Unification Movement in Busan during The April Resistance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4월항쟁기 부산지역 통일운동의 탈지역성

Delocality of Unification Movement in Busan during The April Resistance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