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중학생

연구분야 : B121109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특수교육

클래스 : 인간(연령)
인간(장애/질병)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6378

한자 : 障礙中學生

a01-02-02 인간(연령)

연령1

청소년

a01-05-02 인간(장애/질병)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청소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중학생 () [ 中學生 ]

isKindOf (상위 유형)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특수교육 대상자 () [ 特殊敎育對象者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a01-02-02 인간(연령) / a01-05-02 인간(장애/질병)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시각장애 중학생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middle schools]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특수교육 보조원 () [ 特殊敎育補助員 ]

특수교육보조원을 활용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장애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through para-professional on challenging behavio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middle school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2 | 2011 | 교육학

일반중학교 진학에 따른 장애학생 어머니의 전이 경험과 요구

The Expectations of Mothers for Thei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oncerning Transition into Inclusion

특수교육 | 9 | 2 | 2010 | 특수교육

일반중학교 진학에 따른 장애학생 어머니의 전이 경험과 요구

The Expectations of Mothers for Thei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oncerning Transition into Inclusion

특수교육 | 9 | 2 | 2010 | 특수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