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도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B101102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북한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768

STNet ID : 1000952

한자 : 平安道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BT (상위어)

 

 

양서 [ 兩西 ]

BT (상위어)

 

 

서도 () [ 西道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관서 지방 [ 關西地方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 지명 지명

용골 [ 龍骨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삭주면 [ 朔州面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평안북도 [ 平安北道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평안남도 [ 平安南道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함종 [ 咸從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 지명 지명

청북 [ 淸北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철산부 [ 鐵山府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창성부 [ 昌城府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자산군 [ 慈山郡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서계 (행정구역) [ 西界 ]

RT (관련어)

 

 

토관 [ 土官 ]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냉전 인식과 국가건설 구상

Nation-Building Pla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among Liberal Intellectual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under the American Military Regime

한국사상사학 | 38 | 2011 | 역사학

움직이는 중심들, 가능성과 선택으로서의 로컬리티(locality) : 한반도 서북 지역의 민족주의 문화운동을 사례로

Shifting Centers: Locality as Possibility and Choice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朴泰輔 文學에 나타난 現實 對應 樣相 — 忠淸道 遊覽時期와 平安道 流配時期의 作品을 中心으로 —

The Coping Aspect with Reality Shown in Park Tae-bo's Literature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정묘호란 의병장 정봉수의 활약과 조선왕조의 인식

Activities of Jeong Bong-su, the general of Righteous Armies, at Jeongmyo horan and recognition of Joseon Dynast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19세기 전반 평안도 지역 유배인의 성격과 유배행정 - 『平安監營啓錄』 순조대 기사 분석 -

The Nature of the People exiled to the Pyeong’an-do region in the Early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Exile Management in that region - Analysis of the events that happened during King Sunjo's reign, recorded in 『Pyeong'an Gam'yeong Gye'rok/平安監營啓錄』 -

한국문화 | 59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 동아시아사의 재구성을 위한 공간의 시점

A view of space for reconstruction of modern East Asian history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18세기 평안도 鎭堡재정의 운영과 변화

The 18th century System and Management of JinBo(鎭堡) Finances on the PyungAn Area

韓國史學報 | 46 | 2012 | 역사학

서북 지역 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esearh on the Northern region Literature.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조선후기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 -관비(官婢)와 열녀(烈女)를 중심으로-

The Locality of Women -Female slaves and Virtuous women of Northern reg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 -관비(官婢)와 열녀(烈女)를 중심으로-

The Locality of Women -Female slaves and Virtuous women of Northern reg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