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 ‘한일병합조약’ 체결강제의 역사적 진실규명과 국제법적 조명
Considerations of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Truth and International Law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한국 현대시와 지리산-‘지리산’의 공간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Jiri-Mountain of the Korean Contemporary Poetry
배달말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Nature and Human appeared animations which Miyajaki Hayao director and Takahata Isao director produced
한국문예비평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과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
Nature and Human appeared animations which Miyajaki Hayao director and Takahata Isao director produced
한국문예비평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의도된 초월적 존재 윤리의 특성
The Feature of Transcendent Being Ethics intended in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미국과 북한, 미국과 이란의 갈등에서 나타난 기독교, 주체사상, 이슬람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hristianity, Juche and Islam manifested in the US-North Korean conflict and the US-Iran Conflict
신학사상 |
151 |
2010 |
기독교신학
미국과 북한, 미국과 이란의 갈등에서 나타난 기독교, 주체사상, 이슬람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hristianity, Juche and Islam manifested in the US-North Korean conflict and the US-Iran Conflict
신학사상 |
|
151 |
2010 |
기독교신학
정의로운 평화와 “민에 의한 통일”- 심원 안병무 선생의 통일이론
Just Peace and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On the Theory of Reunification in Byung Mu Ahn
신학사상 |
155 |
2011 |
기독교신학
도덕과의 통일교육 연구
A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R.O.K.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5‧18을 기억한다
How to remember 5‧18
신학전망 |
169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5‧18을 기억한다
How to remember 5‧18
신학전망 |
|
169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구상문학관의 현황과 발전 방향
The Present State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Gu Sang Literature House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상문학관의 현황과 발전 방향
The Present State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Gu Sang Literature House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명 활용을 통해 살펴본 부산을 읊은 가사 두 편
A Study of Two Works of Ga-sa(歌辭) Singing Busan by Using Place Names, a 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Which Dealt with Busan(釜山)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지명 활용을 통해 살펴본 부산을 읊은 가사 두 편
A Study of Two Works of Ga-sa(歌辭) Singing Busan by Using Place Names, a Korean Traditional Literary Genre, Which Dealt with Busan(釜山)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민주적 연방주의와 평화
Democratic Federalism and the Peace
법학연구 |
53 |
2 |
2012 |
기초법
‘문선명 총재-김일성 주석 단독회담’의 역사적 의미와 평가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ssessment on the Summit-level Meeting between Moon Sun-myung (President of FFWPU) and Kim Il-sung (Leader of North Korea / Eternal President of DPRK)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국제경제법에 대한 북한의 인식
A Study on North Korea’s Attitude Toward International Economic Law
서울국제법연구 |
17 |
1 |
2010 |
기초법
국제경제법에 대한 북한의 인식
A Study on North Korea’s Attitude Toward International Economic Law
서울국제법연구 |
17 |
1 |
2010 |
기초법
박은식의 민족과 세계 인식 -경쟁과 공생의 이중주-
Park Eun-sik's understanding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world peace
韓國史學報 |
39 |
2010 |
역사학
박은식의 민족과 세계 인식 -경쟁과 공생의 이중주-
Park Eun-sik's understanding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world peace
韓國史學報 |
|
39 |
2010 |
역사학
후안 보쉬의 ‘황금’과 ‘평화’에 대한 성찰
Una meditación de Juan Bosch sobre el oro y la paz
중남미연구 |
29 |
1 |
2010 |
지역학
후안 보쉬의 ‘황금’과 ‘평화’에 대한 성찰
Una meditación de Juan Bosch sobre el oro y la paz
중남미연구 |
29 |
1 |
2010 |
지역학
이명박 정부와 제주 해군기지
Lee Myung-bak government and the Jeju Naval Base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2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The Waves of Social Justice and Peace in American Adult Education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The Waves of Social Justice and Peace in American Adult Education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크리스틴 드 피장의 유기체론
The Theory of Organism of Christine de Pizan
서양사론 |
110 |
2011 |
역사학
반제반전 투쟁과 평화 기원으로서의 아마겟돈 전쟁: 요한계시록의 주체 윤리
Armageddon War as Protest against Imperialism and War and as Wish for Peace: Juche Ethics of the Apocalypse of John
신학논단 |
69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정치적 역할
A Study on the polit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정치적 역할
A Study on the polit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경제적 역할-한반도 통일: 중국의 경제 작용
A Study on the econom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국의 경제적 역할-한반도 통일: 중국의 경제 작용
A Study on the economical role of China in the Korean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김후란 시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와 현실인식 – 「따뜻한 가족」을 중심으로 –
Meaning of Family and Realization of in Hoo-Rahn Kim's Poetry - Focused on 「Warm Family」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후란 시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와 현실인식 – 「따뜻한 가족」을 중심으로 –
Meaning of Family and Realization of in Hoo-Rahn Kim's Poetry - Focused on 「Warm Family」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북한 통일교육의 전략과 전망
The Prospect and the Strategy of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outh korea & North korea
초등도덕교육 |
37 |
2011 |
윤리교육학
차이, 공생, 통일로 엮는 한국인문학의 신지평 모색
Research for New Paradigm on Humanities in Korea woven by Difference, Symbiosis and Unification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차이, 공생, 통일로 엮는 한국인문학의 신지평 모색
Research for New Paradigm on Humanities in Korea woven by Difference, Symbiosis and Unification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The Transfiguration of Violence: On the Meta‐Ontological Dimension of the Way of Peace
폭력의 변형: 평화적 방법의 상위존재론적 차원에 관하여
생명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
북한 인권문제와 ‘인도적 개입’ - 주요 쟁점과 비판적 평가 -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and ‘Humanitarian Intervention’: Disputes and the Critical Evaluations
통일문제연구 |
22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 인권문제와 ‘인도적 개입’ - 주요 쟁점과 비판적 평가 -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and ‘Humanitarian Intervention’: Disputes and the Critical Evaluations
통일문제연구 |
22 |
1 |
2010 |
정치외교학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Hwajaeng(和諍) and Ilsim(一心): Peace and Unification in Wonhyo's Thought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Hwajaeng(和諍) and Ilsim(一心): Peace and Unification in Wonhyo's Thoughts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통일독일의 다자안보 경험과 동북아 평화에의 함의
Experiences of the Unified Germany in Multilateral Security and Its Implication in Northeast Asian Peace
Oughtopia (오토피아) |
25 |
3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통일독일의 다자안보 경험과 동북아 평화에의 함의
Experiences of the Unified Germany in Multilateral Security and Its Implication in Northeast Asian Peace
Oughtopia (오토피아) |
25 |
3 |
2010 |
기타정치외교학
민족의 형상화 그리고 지식의 재구조화·합리화·권력화 문제 - 동북아시아의 맥락에서
On Meaning of Nation of Knowledge in the Context of Northeast Asia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민족의 형상화 그리고 지식의 재구조화·합리화·권력화 문제 - 동북아시아의 맥락에서
On Meaning of Nation of Knowledge in the Context of Northeast Asia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로마제국과 아우구스티누스: 기독교와 정치질서 그리고 평화
Roman Empire and Augustine: Christianity, Political Order and Peace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3 |
2010 |
정치외교학
로마제국과 아우구스티누스: 기독교와 정치질서 그리고 평화
Roman Empire and Augustine: Christianity, Political Order and Peace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3 |
2010 |
정치외교학
평화연구의 현실성 강화: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의 수렴을 중심으로
How to Enhance the Relevance of Modern Peace Studies?: Pursuing Harmony between Positive Peace and Negative Peace
의정논총 |
5 |
1 |
2010 |
정치행정
평화연구의 현실성 강화: 적극적 평화와 소극적 평화의 수렴을 중심으로
How to Enhance the Relevance of Modern Peace Studies?: Pursuing Harmony between Positive Peace and Negative Peace
의정논총 |
5 |
1 |
2010 |
정치행정
새로운 통일교육의 지향, 평화와 안보의 균형 추진
New Direction forward Unification Education, Proceeding Balance between Peace and Security
도덕윤리과교육 |
35 |
2012 |
교육학
근대에 대한 하나의 철학적-역사적 성찰 -베를린 장벽의 붕괴 20주년과 그 함의를 찾아-
A Philosophical-Historical Reflection on the Modernity ―In Search of the Meaning of 20 Years After the Collapse of Berlin Wall―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근대에 대한 하나의 철학적-역사적 성찰 -베를린 장벽의 붕괴 20주년과 그 함의를 찾아-
A Philosophical-Historical Reflection on the Modernity ―In Search of the Meaning of 20 Years After the Collapse of Berlin Wall―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정의로운 평화를 향하여 -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디트리히 본회퍼 읽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Toward just Peace: A Critical Study on Stanley Hauerwas’s Reading of Dietrich Bonhoeffer
장신논단 |
44 |
1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문명 이해 -화해와 평화 구축을 위해
The Understanding of the Civilizations in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 For building up Reconciliation and Peace
신학과 사회 |
24 |
2 |
2011 |
기타인문학
‘민주적 평화협조체제(Concert)’와 ‘비핵지대(NWFZ) 평화의 호’의 이론적 검토와 제안: ‘G2’, ‘평화’, 그리고 안보레짐
A Theoretical Review of and Proposal for the Democratic Peace Concert and the Peace Arc of Nuclear-Weapon-Free-Zones: 'G2', 'Peace', and Security Regime
동북아연구 |
27 |
1 |
2012 |
국제관계/협력
How Can a God of Love Use Violence?
어떻게 사랑의 하나님이 폭력을 사용하시는가?
성경과 신학 |
61 |
2012 |
기독교신학
전쟁의 원인과 국제관계에 대한 투키디데스의 분석 -긍정적 인간성과 평화의 지향에서 보이는 현대적 의미-
The Analysis of Thucydides for the Cause of War and International Relations -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his Emphasis on the Positive Humanity and Peace -
대구사학 |
101 |
2010 |
역사학
전쟁의 원인과 국제관계에 대한 투키디데스의 분석 -긍정적 인간성과 평화의 지향에서 보이는 현대적 의미-
The Analysis of Thucydides for the Cause of War and International Relations -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his Emphasis on the Positive Humanity and Peace -
대구사학 |
101 |
|
2010 |
역사학
세계화와 기독교교육의 과제
Globalization and the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 논총 |
26 |
2011 |
기독교교육
청소년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형 -‘고난함께’의 “평화캠프” 사례를 중심으로-
The New Model for Juveniles Unification Education: A Case Study of “Peace Camp”
기독교교육 논총 |
29 |
2012 |
기독교교육
전쟁과 평화에 대한 孟子의 인식
Mencius's thoughts of war and peace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순수’한 청년들의 ‘평화’ 시위와 오염된 정치 공간의 정화 - 4월혁명기에 선호된 어휘에 대한 개념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Pure’ young people's ‘peaceful’ demonstr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olluted political space - Focusing on the approach of conceptual history about the favored words in April Revolution period
상허학보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대중의 일본에 대한 인식과 전략: 주요 저작과 어록을 통해 본 인식의 진화와 정치적 선택
Kim Dae-jung's Perception and Strategy toward Japan: Tracing the Historical Evolution of Policy Ideas and Political Choices from His Publications and Analect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1 |
2011 |
정치외교학
바울에게 있어서 'Ισραηλ του θεου가 가능한가 -갈라디아서 6:16에 대한 구문론적 그리고 의미론적 이해에 대한 한 시도-
'Ισραηλ του θεου by Paul?: A syntactic and semantic Study on Gal 6:16
성경원문연구 |
27 |
2010 |
기독교신학
바울에게 있어서 'Ισραηλ του θεου가 가능한가 -갈라디아서 6:16에 대한 구문론적 그리고 의미론적 이해에 대한 한 시도-
'Ισραηλ του θεου by Paul?: A syntactic and semantic Study on Gal 6:16
성경원문연구 |
|
27 |
2010 |
기독교신학
소프트 파워와 제주 ‘평화의 섬’의 법적 과제
Soft Power and Legal challenges of Peace Island, Jeju
법과정책 |
18 |
2 |
2012 |
기타법학
제주섬에서 보는 생명․생태․평화의 삼중주
The Trio of Life-Eco-Peace played in Jeju Island
대동철학 |
51 |
2010 |
철학
제주섬에서 보는 생명․생태․평화의 삼중주
The Trio of Life-Eco-Peace played in Jeju Island
대동철학 |
|
51 |
2010 |
철학
정의와 평화를 지향하는 레오나르도 보프의 생명 삼위일체론
Leonardo Boff’s Life Trinity toward the Society of Justice and Peace
한국조직신학논총 |
30 |
2011 |
조직신학
천인관계로 살펴본 천도교 영성의 의미와 성격
On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Spirituality in Chondo-gyo: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종교교육학연구 |
36 |
2011 |
종교학
Peace and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Beyond a commitment with Latin America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Peace and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Beyond a commitment with Latin America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전륜성왕의 정치이념과 평화
転輪聖王の政治理念と平和
민족사상 |
5 |
2 |
2011 |
한국정치사상
Incarnational Missions in Pursuit of Reconciliation and Peace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는 성육신적 선교
선교신학 |
28 |
28 |
2011 |
기독교신학
참여 및 자아구성 방식으로서의 전쟁 그리고,혹은 평화 담론 - 독일어권 및 한국 여성작가의 문학텍스트 비교
Kriegs- und/oder Friedensdiskurse als Engagementformen und Spielarten der weiblichen Ich-Konzeption - Eine vergleichende Untersuchung anhand von Texten deutschsprachiger und koreanischer Autorinnen
헤세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상소문(上疏文)을 통해 본 오늘날 대북정책의 방향
Today’s Implications of Cho Hun’s Appeals on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신아세아 |
18 |
2 |
2011 |
정치외교학
재난 지역에서 평화에 대한 선교적 이해 - 아이티 지진 구호 사역을 중심으로 -
Missiological Comprehension about Peace at the Scene of the Disaster
선교와신학 |
26 |
2010 |
기독교신학
재난 지역에서 평화에 대한 선교적 이해 - 아이티 지진 구호 사역을 중심으로 -
Missiological Comprehension about Peace at the Scene of the Disaster
선교와신학 |
|
26 |
2010 |
기독교신학
본회퍼의 평화를 위한 저항 : 종교적 魔性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하나님 말씀에 대한 順服
Dietrich Bonhoeffer’s Resistance for Peace
한국조직신학논총 |
32 |
2012 |
조직신학
원효의 평화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nhyo's Peace Thought
민족사상 |
6 |
1 |
2012 |
한국정치사상
Religious and Ethnic Conflict of Culture
민족간의 문화 충돌과 갈등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2 |
2010 |
기타지리학
Religious and Ethnic Conflict of Culture
민족간의 문화 충돌과 갈등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2 |
2010 |
기타지리학
전쟁과 평화에 대한 연구 :그 이론적 논의의 외연 확대 - 토마스 모어 이전과 이후
A study of Peace and War : Before and After, Thomas More
평화학연구 |
13 |
3 |
2012 |
정치외교학
칸트가 제시한 평화에로의 길: 주체적인 삶
The Path to the Peace Suggested by Kant: The Subjective Life
대동철학 |
51 |
2010 |
철학
칸트가 제시한 평화에로의 길: 주체적인 삶
The Path to the Peace Suggested by Kant: The Subjective Life
대동철학 |
|
51 |
2010 |
철학
DMZ와 생태평화의 철학
DMZ and the Philosophy of Ecological Peace
환경철학 |
10 |
2010 |
과학/자연철학
DMZ와 생태평화의 철학
DMZ and the Philosophy of Ecological Peace
환경철학 |
|
10 |
2010 |
과학/자연철학
실천하는 영성가 요한 바오로 2세의 평화의 관점에서 본 가난의 문제
The Issue of Poverty in the Area of Peace from the Perspective of John Paul II, Practitioner of Spirituality
인간연구 |
21 |
2011 |
철학
동북아 평화와 인천의 NLL 문제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ern Limit Line in Incheon
인천학연구 |
1 |
16 |
2012 |
기타인문학
墨子 反戰論의 이론적 근거와 한계
Theoretical Basis and Limitation of Mo tzu's Antiwar Theory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墨子 反戰論의 이론적 근거와 한계
Theoretical Basis and Limitation of Mo tzu's Antiwar Theory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체(體)·상(相)·용(用)의 원리로 살펴 본 참여영성과 평화의 해석학적 고찰- 간디의 아힘사를 중심으로 -
The Essence (體), Attributes (相), and Influence of Suchness (用): A Hermeneutic Discussion and Look at the Principles of Participatory Spirituality and Peace Based on Gandhi’s Ahimsa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 |
2011 |
원불교학
평화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과 디아코니아적 대안
The Structural Problem of Peace and Psychoanalytic and Diakoniatic Alternative
담론201 |
14 |
3 |
2011 |
사회학
한반도 평화공동체와 안병무의 민중공동체
Peace Community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Minjung Community
신학연구 |
48 |
2 |
2011 |
기독교신학
이슬람과 기독교의 평화론에 대한 비교연구: ―지구공동체를 위한 평화윤리의 가능성
A Comparative Study on Peace Thought in Islam and Christianity: Toward a Peace Ethics for Global Community
대학과 선교 |
20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학교 통일교육의 현재아 미래 -평화와 안보의 발전적 통섭을 위하여-
A study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public education for unification -For the developmental consilience of peace and security
북한학연구 |
8 |
1 |
2012 |
북한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이론의 긴장과 현실의 통합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tension of theory and the combination of reality
북한연구학회보 |
14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이론의 긴장과 현실의 통합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tension of theory and the combination of reality
북한연구학회보 |
14 |
2 |
2010 |
정치외교학
평화교육이 지향하는 가치 내용의 탐색: Comenius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value contents in peace education: Centered on Comenius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평화교육이 지향하는 가치 내용의 탐색: Comenius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value contents in peace education: Centered on Comenius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평화 선교에 대한 소견
An Opinion on the Peace Mission
선교와신학 |
26 |
2010 |
기독교신학
평화 선교에 대한 소견
An Opinion on the Peace Mission
선교와신학 |
|
26 |
2010 |
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