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

연구분야 : B081800 사회과학 > 사회학 > 북한사회및통일연구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8042

STNet ID : 9001747

한자 : 韓半島平和
영어 :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1 대륙(반도)명 대륙(반도)명

한반도 () [ 韓半島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평화 () [ 平和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한반도 평화 체제 [ 韓半島和平體制 ]

19대 국회와 한국 외교 담론

The 19th National Assembly and Discourses of Korea’s Foreign Policy

국가전략 | 18 | 2 | 2012 | 정치외교학

국제 평화권 논의의 추세와 함의

The Trend of the Discuss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 to Peace and Its Implication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1 | 2012 | 정치외교학

헬싱키 협정의 이행(바스켓Ⅰ): 군비통제의 기원과 동북아에 주는 함의

The Implementation of Helsinki Final Accord(Basket I): The Origin of Arms Control and Its Implication for Northeast Asi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헬싱키 협정의 이행(바스켓Ⅰ): 군비통제의 기원과 동북아에 주는 함의

The Implementation of Helsinki Final Accord(Basket I): The Origin of Arms Control and Its Implication for Northeast Asi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미국 대외정책에서의 체제전환정책과 한국적 함의

The U.S. Regime Change Policy and Its Implication to Korea

국가안보와 전략 | 12 | 2 | 2012 | 정치외교학

남북한 경제교류의 정치적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Political Effect of Economic Trade on South-North Korea Relation

유라시아연구 | 9 | 1 | 2012 | 기타사회과학

중국의 대 남북한정책의 지속과 동학 - 후진타오 이후 대 남북한관계를 중심으로 -

The Duration and Dynamics of China's Foreign Policies to the tow Koreas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중국의 대 남북한정책의 지속과 동학 - 후진타오 이후 대 남북한관계를 중심으로 -

The Duration and Dynamics of China's Foreign Policies to the tow Koreas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중관계 20년: 회고와 전망 - 중국의 시각에서

Twenty-Years of China-Korea Amity: Retrospects and Prospects

국방정책연구 | 28 | 1 | 2012 | 정책학

조선반도 평화 안정을 위한 중국의 역할과 전망

Roles of China for Korean Peninsular Peace

북한학보 | 35 | 1 | 2010 | 북한

조선반도 평화 안정을 위한 중국의 역할과 전망

Roles of China for Korean Peninsular Peace

북한학보 | 35 | 1 | 2010 |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