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B200300 사회과학 > 군사학 > 국방정책론
D150700 공학 > 건축공학 > 건축문화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896

STNet ID : 1000960

한자 : 風納土城
영어 : Pungnabtoseong
동의어(UF) : 서울 풍납동 토성(--風納洞土城)
동의어(UF) : 풍납동토성(風納洞土城)
기타 : 광주풍납리토성(廣州風納里土城)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토성 (土城)

제작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관리자(처)

송파구 (松坡區)

지정호수_t

사적 제11호

지정일자_t

1963.01.21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백제 시대 [ 百濟時代 ]

R1:개념적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한성기 (BC18-475) [ 漢城期 ]

RT (관련어)

 

 

위례성 () [ 慰禮城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몽촌토성 () [ 夢村土城 ]

百濟 漢城의 瓦當과 瓦葺景觀

The Antefix Tiles and Landscape of Hanseong, the Capital City of Baekje.

호서고고학 | 23 | 2010 | 기타고고학

百濟 漢城의 瓦當과 瓦葺景觀

The Antefix Tiles and Landscape of Hanseong, the Capital City of Baekje.

호서고고학 | | 23 | 2010 | 기타고고학

백제 漢城都邑期 연구 동향과 과제

A Trend of Studies of Baekje Kingdom and its Han Castle Period

백제문화 | 1 | 44 | 2011 | 한국고대사

百濟 漢城時代 都城制度에 관한 一考察 -兩宮城制度를 中心으로-

A Research on the System of the Twin Capital Cities in Baekje Hanseong Period

서울과 역사 | 76 | 2010 | 역사학

百濟 漢城時代 都城制度에 관한 一考察 -兩宮城制度를 中心으로-

A Research on the System of the Twin Capital Cities in Baekje Hanseong Period

서울과 역사 | | 76 | 2010 | 역사학

풍납토성 보존 및 복원사업의 가치 측정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Pungnap Castle Restoration Project

지역연구 | 26 | 3 | 2010 | 국제/지역개발

풍납토성 보존 및 복원사업의 가치 측정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Pungnap Castle Restoration Project

지역연구 | 26 | 3 | 2010 | 국제/지역개발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The Chronological Study on Hanseong Period of Baekje

백제연구 | 53 | 2011 | 역사학

풍납토성 라-19호 출토 토양과 토기의 재료학적 특성

Material Properties of Soil and Potteries Excavated From Ra-No.19 Site of Pung-nap Mudcastle

문화재 | 45 | 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