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 미술

연구분야 : G030105 예술체육 > 미술 > 미술일반 > 미술사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1156

한자 : 民衆美術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1980년대 () [ 一九八○年代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리얼리즘 () [ 寫實主義 ]

isAffectedBy (영향요인)

 

x02-01 시대 시대

제5공화국 (1981-1988) [ 第五共和國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슈퍼 그래픽 [super graphics]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역사화 [ 歷史畵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포럼 에이 [Forum A]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포스트 민중미술 [ --民衆美術 ]

시대적 거울로서의 틈새 공간: 문화번역과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비평

Interstitial Space as a Mirror of the Era: Cultural Translation and Korean Art Criticism on Postmodernism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현대 역사화(歷史畵)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조형화된 역사인가 역사의 조형화인가 -

A Study on the Modern History Painting in Korea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미술의 아방가르드 시론

Korean Avant-garde movements : Issues and Debates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한국미술의 아방가르드 시론

Korean Avant-garde movements : Issues and Debates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 21 | 2010 | 미술

신학철의 <한국근・현대사> 연작 연구

A Study on Shin Hak-chul's The Series of Korean Modern·Contemporary History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2 | 2011 | 미술

80년대 부산 <형상미술>의 가능성과 그 현재적 의미 —타자성으로서의 지역(locality) 개념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and its current meanings of a Figurative art of Busan during 1980s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80년대 부산 <형상미술>의 가능성과 그 현재적 의미 —타자성으로서의 지역(locality) 개념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ies and its current meanings of a Figurative art of Busan during 1980s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1990년대 광주에서의 현실주의 수묵화의 의미

Meaning of Realism Ink Painting in Gwangju of 1990s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민중미술: 「원시(原始)를 꿈꾸다」, 바타이유(G. Bataille)와 루카치(G. Lukács) 사상으로 접목 고찰

Minjung Art : 'Dream of going back to the primitive times', reading it by the theories of G. Bataille and G. Lukács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민중미술에 차용된 대중문화의 양상 : 알레고리적 의미를 중심으로

The Aspects of Appropriated Mass Media Images in Minjung Art : Specialized in the Allegorical Meanings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민중미술의 유산과 '포스트 민중미술'

Legacy of Minjoong Art and ‘Post Minjoong Art’

현대미술사연구 | 28 | 2010 | 미술사

기억의 정치학: 끝나지 않은 전쟁과 젠더

Politik der Erinnerung: der noch nicht beendete Krieg und das Geschlecht

현대미술사연구 | 28 | 2010 | 미술사

기억의 정치학: 끝나지 않은 전쟁과 젠더

Politik der Erinnerung: der noch nicht beendete Krieg und das Geschlecht

현대미술사연구 | | 28 | 2010 | 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