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부

연구분야 : A020105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사회사(역사학)

클래스 : 인간(사회계층)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

STNet ID : 1000009

한자 : 士大夫

a01-04-04 인간(사회계층)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사농공상 [ 士農工商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문언 소설 () [ 文言小說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집) [ 堂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양반 문학 [ 兩班文學 ]

RT_Y (◄관련어)

관련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강호가사 [ 江湖歌辭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문인화 () [ 文人畵 ]

이만수의 『投壺集圖』를 통해 본 조선 후기 投壺遊戱 양상

A Study on the Entertaining Aspects of Tuho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이만수의 『投壺集圖』를 통해 본 조선 후기 投壺遊戱 양상

A Study on the Entertaining Aspects of Tuho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우암 송시열의 의리적 예론

Song Siyeol's righteousness centered arguments on the ritual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 이전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특징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Hangeul Love Letters in the pre-modern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Yi Sung-gye’s Political Opponents in Late 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Yi Sung-gye’s Political Opponents in Late 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宋代 「君主獨裁體制說」에 대한 異論

關于宋代"君主獨裁體制說"的異論

동양사학연구 | 111 | 2010 | 역사학

宋代 「君主獨裁體制說」에 대한 異論

關于宋代"君主獨裁體制說"的異論

동양사학연구 | | 111 | 2010 | 역사학

중국 전통지식인과 정치사회권력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The relation of traditional intellectuals and political-socialpower in China

중소연구 | 36 | 2 | 2012 | 사회과학

조선 후기 經書類 언해에 대한 사대부 기록의 양상 - 해석적 오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Aspect of Sadaebu(士大夫) Record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Korean annotation) in Late Joseon Period - Centering on Recognition of Analytical Error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북송 문화의 混種性과 이학문예심미

중국어문학지 | 34 | 2010 | 중국어와문학

북송 문화의 混種性과 이학문예심미

중국어문학지 | | 34 | 2010 | 중국어와문학

한 주변부 사대부의 자의식과 자기규정 - 유만주(兪晩柱)의 『흠영』(欽英)을 중심으로 -

Self-consciousness and self-definition of one marginal gentry : focused on Yu manju’s Heumyeong

규장각 | 40 | 2012 | 기타인문학

이별에 대한 사대부와 기녀의 상대적 시선 - 19세기 가사 <북천가>와 <군산월애원가>에 대한 비교론적 고찰

Relative Perspective of a high official and Ginyeo on Separation - A Comparative Study Bukchunga and Kunsanwolaega of 19th century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명대 후기 유람의 대중화와 여행정보

Popularization of Sightseeing and Travel Information in the Later Ming Dynasty

동북아관광연구 | 8 | 2 | 2012 | 기타관광학

일기를 통해본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기록정신

The Writing Spirit of the Nobility in the Middle Era of Joseon revealed on their Diaries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일기를 통해본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기록정신

The Writing Spirit of the Nobility in the Middle Era of Joseon revealed on their Diaries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북송대 문방사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 in the Northern Sung Period

역사와 담론 | 60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사대부 묘역의 무인석상 복식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costumes of military officer appeared on the stone statues standing at the Noblemen’s tomb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복문화 | 15 | 2 | 2012 | 의상

遁村 李集 한시의 일 양상 -隱逸생활과 관련하여-

Some Features of Dunchon Yi Jip's poems -In connection with his life in seclusion-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朝鮮時代 士大夫 遊覽의 慣行 硏究

A study on the customary practice of Sadaebu’s(士大夫) travel in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8 | 2012 | 역사학

16세기 <어부가>와 <오륜가>,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sin Oryunga(오륜가) and Eobuga(어부가)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사대부의 제주 유배 체험과 그 문화적 성격

The gentry’s Experience in Exile to Jeju in the 17th Century and Its Cultural Meanings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조선시대 사대부의 유람 양상

A Study on Travel Aspect of Sadaebu in Joseon Dynasty

한국학 | 34 | 4 | 2011 | 기타인문학

消費與性別:明淸士商的休閑購物與男性特質

消費와 性別: 明淸 士大夫․商人의 여가생활 속의 구매와 남성적 특징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s i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