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가사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B1212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국어교육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3246

STNet ID : 9001676

한자 : 江湖歌辭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가사 () [ 歌辭 ]

R1:개념적

RT_X (관련어►)

관련 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인로 () [ 朴仁老 ]

RT_X (관련어►)

관련 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철 (1536-1593) [ 鄭澈 ]

RT_X (관련어►)

관련 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송순 () [ 宋純 ]

RT_X (관련어►)

관련자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사대부 [ 士大夫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성산별곡 () [ 星山別曲 ]

白雲風流와 三傑的 思惟

Baekun Pungryu and the Three Masters’ Speculat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과재 김정묵의 <매산별곡> 연구

A regarding on a newly discovered work, of Gwajae(過齋) Kim Jeong-Muk(金正默)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강호가사에 나타난 ‘소요(逍遙)’의 양상과 교육적 의의-강호시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Aspect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amble[逍遙]’ in Gangho Gasa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강호가사에 나타난 형상적 사고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of figurative thinking education in Gang-Ho Gasa(江湖歌辭)

국어교육연구 | 25 | 2010 | 국어교육

강호가사에 나타난 형상적 사고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of figurative thinking education in Gang-Ho Gasa(江湖歌辭)

국어교육연구 | | 25 | 2010 | 국어교육

士大夫의 現實에 대한 關心과 世俗的 慾望

The concern about reality of confucian and secular desire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