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도

연구분야 : B160401 사회과학 > 지리학 > 지역지리학 > 한국지리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320

STNet ID : 1001006

한자 : 咸鏡道
동의어(UF) : 함경(咸鏡)
동의어(UF) : 북관(北關)
동의어(UF) : 북관(北關)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 지명 지명

종성부 [ 鍾城府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 지명 지명

영흥부 [ 永興府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함경북도 [ 咸鏡北道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함경감사 () [ 咸鏡監司 ]

RT (관련어)

 

 

토관 [ 土官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북곤 [ 北閫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북로 [ 北路 ]

RT (관련어)

 

 

함경감영 () [ 咸鏡監營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신최 [ 申最 ]

임진전쟁 전반기,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동향 - 戰功의 위기와 講和交涉으로의 가능성

A Study on the Movements of Kato Kiyomasa in the Early Days of Imjin War ― A crisis in military merits and the possibility of peace negotiations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7)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7)

방언학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임진왜란기 일본군의 함경도 점령과 지역민의 동향

壬辰倭乱期における日本軍の咸鏡道占領と地域民の動向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기 일본군의 함경도 점령과 지역민의 동향

壬辰倭乱期における日本軍の咸鏡道占領と地域民の動向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공공 미디어로서의 극장과 조선민간자본의 문화정치

The Theatre as Public Media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oseon Civil Capital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공공 미디어로서의 극장과 조선민간자본의 문화정치

The Theatre as Public Media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Joseon Civil Capital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5)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5)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5)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5)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6)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6)

방언학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6)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6)

방언학 |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8)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8)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9)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9)

방언학 | 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 -관비(官婢)와 열녀(烈女)를 중심으로-

The Locality of Women -Female slaves and Virtuous women of Northern reg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서북지역 여성의 지역성 -관비(官婢)와 열녀(烈女)를 중심으로-

The Locality of Women -Female slaves and Virtuous women of Northern reg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북 지역 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esearh on the Northern region Literature.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海左 丁範祖의 함경도 유배기 漢詩 일고찰

A study of chinese poems written by Jeong Beom-jo in exile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左 丁範祖의 함경도 유배기 漢詩 일고찰

A study of chinese poems written by Jeong Beom-jo in exile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8-19세기 咸鏡道 王室史蹟의 시각화 양상과 의의

The Visualiz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Historical Sites of Joseon Royal Family in Hamgyeong Province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한국학 | 35 | 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