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최

연구분야 : A110404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문비평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386

STNet ID : 9001218

한자 : 申最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계량 [ 季良 ]

UF (비우선어)

 

춘소 [ 春沼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R1:개념적

RT (관련어)

대표관직

 

낭천현감 [ 狼川縣監 ]

R2:기능적

manages (관리 대상)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함경도 () [ 咸鏡道 ]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申最의 『皇明二大家文抄』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

Friendship between Mao Kun and Wang Shi Zhen and their common literary direc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申最의 『皇明二大家文抄』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

Friendship between Mao Kun and Wang Shi Zhen and their common literary direc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申最의 『皇明二大家文抄』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

Friendship between Mao Kun and Wang Shi Zhen and their common literary direc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申最의 『皇明二大家文抄』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

Friendship between Mao Kun and Wang Shi Zhen and their common literary direc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