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말선초 紅牌·白牌 양식의 변화와 의의
The chang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form of crimson certificate and white certificate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
출판매체를 통해 본 근대문학 공간의 형성과 대구 - 일제강점기와 해방기를 중심으로 -
Daegu and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ture's Space in light of Print Media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작문수업과 문예부, 문학청년의 망탈리테
A composition lesson and the literature club and mentalite of a literary youth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 이른바 ‘시’를 지칭하는 용어 고찰 -학교 잡지를 중심으로
The historic studies of the regulating poem's genre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 이른바 ‘시’를 지칭하는 용어 고찰 -학교 잡지를 중심으로
The historic studies of the regulating poem's genre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1930년대 학생문학에 나타난 희생양 이미지의 의의 - 기독교학교 발행 잡지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Scapegoat Image Showed in 1920~30's Student Literary Circles : with Christian School Magazine
문학과 종교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1920-1930년대 학생문학에 나타난 희생양 이미지의 의의 - 기독교학교 발행 잡지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Scapegoat Image Showed in 1920~30's Student Literary Circles : with Christian School Magazine
문학과 종교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