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연구분야 : A020100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402

STNet ID : 1001015

한자 : 解放
영어 : liberation
프랑스어 : libération
영어 : emancipation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신분 해방 [ 身分解放 ]

hasKind (종류)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민족 해방 [ 民族解放 ]

hasKind (종류)

 

 

민중 해방 [ 民衆解放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해방 공간 [ 解放空間 ]

RT (관련어)

 

 

여성 해방사 [ 女性解放史 ]

조선시대 서사 속의 말과 그 문화적 의미

The talking in the narratives of Chosun dynasty and its cultural meaning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데올로기 비판과 해방의 기획으로서 랑시에르의 정치철학

Jacques Rancière’s Political Philosophy as a Ideology Criticism and Emancipation Project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이데올로기 비판과 해방의 기획으로서 랑시에르의 정치철학

Jacques Rancière’s Political Philosophy as a Ideology Criticism and Emancipation Project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鷗山 高在植이 구상한 해방실천의 선교윤리학

Jae Sik Ko’s Ethics of Mission for Liberation of the Poor

신학연구 | 48 | 1 | 2011 | 기독교신학

번역된 냉전, 그리고 혁명; 사르트르, 마르크시즘, 실존과 혁명

Translated Cold War and Revolution; Sartre, Marxism, Existentialism and Revolution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김달수 소설 『태백산맥』에 나타난 해방의 의미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liberation appeared in written by Kim-Dalsu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Critical-Emancipatory Science

경제와 사회 | 89 | 2011 | 사회학

해방기 세대론의 양의성과 청년상의 함의 - 『1945년 8․15』, 『효풍』, 『해방』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Youth, Family and Intellectual in the Novel during the era of Independence

비교문학 | 53 | 2011 | 인문학

야곱 뵈메(Jakob Böhme)의 『그리스도께 이르는 여정(Der Weg zu Christo)』에 관한 연구 내재성에서 실천성으로의 전환을 위한 한 시도

Eine Studie zu Jakob Böhmes Werk Der Weg zu Christo Ein Versuch für die Veranderung von Innerlichkeit zu Praktisierung

한국교회사학회지 | 29 | 2011 | 기독교신학

회고시조 감상의 지평 -송도 배경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A prospect of appreciating reflective Sijo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후반 한국에서 梁啓超 정치사상의 재현 - 李觀求의 『新大學』을 중심으로 -

The reappearance of Liang Qi Chao's political ideas in Korean contemporary intellectual history - centered on the New Great Learning(新大學) of Yi Kwan Koo(李觀求)

한국사상사학 | 41 | 2012 | 역사학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국가-집’ 표상 연구 -김동리, 김동인, 엄흥섭의 소설을 중심으로-

The Representation of ‘House-N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novels

현대소설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학사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조선-한국 당대문학사』를 중심으로—

Another View toward Korean Literary History - Focusing on "Joseon- Korean Literary History of the Time"—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1940·50년대 광공업 생산통계의 추계와 분석

The Estimation and Analysis of Mining and Manufacturing Product Statistics in the 1940s and 50s

경제학연구 | 58 | 3 | 2010 | 경제학

1940·50년대 광공업 생산통계의 추계와 분석

The Estimation and Analysis of Mining and Manufacturing Product Statistics in the 1940s and 50s

경제학연구 | 58 | 3 | 2010 | 경제학

미군정기 대전지역의 정치 동향과 국가건설운동

The Political Trend and Nation Building Movement in Daejeon Area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한국근현대사연구 | 62 | 2012 | 역사학

“또 다른 세계”의 알레고리 : 안 에베르(Anne Hébert)의 소설 『마녀집회의 자식들(Les enfants du sabbat)』에 대하여

L'allégorie d'《un autre monde》 : Les Enfants du sabbat d'Anne Hébert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또 다른 세계”의 알레고리 : 안 에베르(Anne Hébert)의 소설 『마녀집회의 자식들(Les enfants du sabbat)』에 대하여

L'allégorie d'《un autre monde》 : Les Enfants du sabbat d'Anne Hébert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 2010 | 프랑스문화학

여성들의 목회 참여를 위한 성경적-신학적 고찰−여성 목사 안수 문제에 관하여

A Biblical and Theological View for Women in Ministry − On the Woman's Ordination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여성들의 목회 참여를 위한 성경적-신학적 고찰−여성 목사 안수 문제에 관하여

A Biblical and Theological View for Women in Ministry − On the Woman's Ordination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이후 부산 오륙도 인식의 형성과 전개

The making and development of recognition of O Ryuk Do in Busan, after 17th century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17세기 이후 부산 오륙도 인식의 형성과 전개

The making and development of recognition of O Ryuk Do in Busan, after 17th century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해방공간 귀환전재민의 두려운 낯섦 -채만식의 「소년은 자란다」를 중심으로-

War Refugees’ Cultural Shock and Unhomeliness Right after the Liberation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1907~1939) 소비자물가지수 추계

An Estimate of Consumer Price Index of Colonial Korea: 1907-1939

경제분석 | 17 | 1 | 2011 | 경제학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꿈과 현실의 대립과 그 변증법 - 안 에베르의 『꿈에 찬 아이 L'enfant chargé de songes』에 대하여 -

L'opposition du rêve et du réel et sa dialectique dans L'enfant chargé de songes d'Anne Hébert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영지주의의 인간관 연구

On the study of the Human in Gnosticism

철학∙사상∙문화 | 12 | 2011 | 기타인문학

Pātañjala의 Yoga Sūtra에 나타난 Samādi의 고찰

The consideration of Samãdhi in appearing Yoga Sūtra by Pātañjala

종교연구 | 67 | 2012 | 종교학

몰트만의 장애(인)신학

A Study on J. Moltmann's Theology of Disability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7 | 2011 | 기독교신학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One Liberation and Two Points of View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One Liberation and Two Points of View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랑시에르의 교육관이 학력양극화 해결에 주는 시사점

Ranciére’s Educational Thoughts and the Resolution to the Academic Performances Divided

교육사상연구 | 26 | 2 | 2012 | 교육학

해방 후 귀환소설에 나타난 만주 체험과 그 의미

Experiences in Manchuria and Their Meanings Observed in Repatriate Novels after the Liberation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군산도와 고군산진의 역사

The History of Gunsando Island and Gogunsanjin Garrison

전북사학 | 37 | 2010 | 역사학

군산도와 고군산진의 역사

The History of Gunsando Island and Gogunsanjin Garrison

전북사학 | | 37 | 2010 | 역사학

淸末 海防체제와 中越 朝貢관계의 변화

The Maritime Defence and Transformation of Sino-Vietnamese Tributary Order at the End of Qing Empire

역사학보 | 205 | 2010 | 역사학

淸末 海防체제와 中越 朝貢관계의 변화

The Maritime Defence and Transformation of Sino-Vietnamese Tributary Order at the End of Qing Empire

역사학보 | | 205 | 2010 | 역사학

‘해방’에서 ‘담론’으로 - 대한민국 푸코 ‘수용 초기’ 지식인 담론의 한 변화

From ‘Liberation’ to ‘Discourse’ - On the Changes in Korean Intellectual Discourses in ‘Early Reception’ of Michel Foucault

인문과학연구 | 27 | 2010 | 기타인문학

‘해방’에서 ‘담론’으로 - 대한민국 푸코 ‘수용 초기’ 지식인 담론의 한 변화

From ‘Liberation’ to ‘Discourse’ - On the Changes in Korean Intellectual Discourses in ‘Early Reception’ of Michel Foucault

인문과학연구 | | 27 | 2010 | 기타인문학

미용효과를 위한 올바른 요가 수련법

Observation of Usefulness for Beauty by Yoga Practice

대한미용학회지 | 6 | 2 | 2010 | 기타미용

미용효과를 위한 올바른 요가 수련법

Observation of Usefulness for Beauty by Yoga Practice

대한미용학회지 | 6 | 2 | 2010 | 기타미용

올바른 실천(orthopraxis) 우위의 비판적 신학을 위하여 -쉴레벡스의 실천적 비판 신학 연구

A Study of E. Schillebeeckx’s Critical Theology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3 | 2011 | 기독교신학

안 에베르의 『가마우지 떼(Les Fous de Bassan)』에 나타난 욕망과 해방의 문제

La problématique du désir et de la libération dans Les Fous de Bassan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6 | 2011 | 프랑스문화학

계몽과 해방의 미시사 -정비석의 『자유부인』-

A Micro-history on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Jeong, Bi-seok's Madame Freedom(Jayu-Buin)-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과 노천명 시에 나타난 ‘해방’과 ‘전쟁’ -해방이후부터 전쟁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Liberation’ and ‘War’ in the Poems of ‘Mo,Yoon-sook’ and ‘No, Chun-myung’ - focused on their poem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war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과 노천명 시에 나타난 ‘해방’과 ‘전쟁’ -해방이후부터 전쟁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Liberation’ and ‘War’ in the Poems of ‘Mo,Yoon-sook’ and ‘No, Chun-myung’ - focused on their poem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war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프로이트와 니체, 욕망의 ‘억압’과 ‘긍정’

Freud and Nietzsche -Negation and Affirmation of Desire

철학연구 | 41 | 2010 | 철학

프로이트와 니체, 욕망의 ‘억압’과 ‘긍정’

Freud and Nietzsche -Negation and Affirmation of Desire

철학연구 | | 41 | 2010 | 철학

미국의 두 표상 - 해방기 북조선 문학의 미국에 대한 인식 연구 -

The Two Symbol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A Study on Awareness of it by Literature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들과 연인』: 해방과 새로운 삶을 향한 반전

Sons and Lovers: The Reversal for the Release and a New Life

D.H. 로렌스 연구 | 19 | 2 | 2011 | 영어와문학

1940-1950년대 여고생의 현실인식과 문예의 특성 고찰― 校誌 『동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of Highschool Girl's in 1940-1950's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校誌) 『Dongduk(同德)』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주체의 확립 과정과 여성문학의 지향점 -임순득 론-

The Process of Subject Establishment and Orientation of Women’s Literature-The theory of Im, Soon-Duk-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체의 확립 과정과 여성문학의 지향점 -임순득 론-

The Process of Subject Establishment and Orientation of Women’s Literature-The theory of Im, Soon-Duk-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엔리께 두셀의 해방철학과 트랜스모더니티

Enrique Dussel’s Philosophy of Liberation and Transmodernity.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1 | 2 | 2010 | 스페인어와문학

엔리께 두셀의 해방철학과 트랜스모더니티

Enrique Dussel’s Philosophy of Liberation and Transmodernity.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1 | 2 | 2010 | 스페인어와문학

북한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변모 양상 — ‘평화적 민주건설시기’(1945.8-1950.6)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of Narrative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 Focus on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곽종원 비평의 주체성 모색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Gwak, Jong-won in 1940s and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이후 곽종원 비평의 주체성 모색

Study on the literature criticism of Gwak, Jong-won in 1940s and 195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언어의 위계와 어법의 균열 -해방기~1960년대, 한국의 언어적 혼종상태와 문학자의 자의식

Hierarchy of Languages and Rupture of Grammar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직후 한국소설에 나타난 귀환과 정주의 선택과 그 의미 -만주 지역에서의 귀환과 정주를 다룬 소설을 중심으로-

The Choice and Meaning of Repatriation and Settlement Observed in Korean Novels Just after the Liberation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귀화의 에스닉 정치와 알리바이로서의 미국 -‘해방’ 이후 장혁주의 선택과 「아, 조선(嗚呼朝鮮)」(1952)-

The Ethnic Politics of Naturalization and America as an Alibi -The Choice of Chang Hyuk-ju after the ‘libertation’ and his novel Alas! Chosun (1952)-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반도의 안과 밖, 해방의 서사들 —해방을 둘러싼 기억투쟁과 민족문학(론)의 지정학—

In/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Narratives of Liberation —The memory struggle for Liberation and geopolitics of nationalistic literary discours—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반도의 안과 밖, 해방의 서사들 —해방을 둘러싼 기억투쟁과 민족문학(론)의 지정학—

In/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Narratives of Liberation —The memory struggle for Liberation and geopolitics of nationalistic literary discours—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