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공간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797

STNet ID : 1001646

한자 : 解放空間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a01-04-03 인간(거주상황)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월북 작가 () [ 越北越北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해방 () [ 解放 ]

남북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필요성과 과제 ─ 일제강점기 ‘조선어학’의 학문적 계보와 국어학사 서술의 단절을 넘어 ─

The Necessity of the Description on Unified Korean Language Research and its Problems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허준의 <잔등> 연구

A study on Heo Jun's 『The Faint Lamplight』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허준의 <잔등> 연구

A study on Heo Jun's 『The Faint Lamplight』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허준의 습작실 연작 연구

A study on Huh-Jun's 「seupjaksil」 series

한국문예비평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허준의 습작실 연작 연구

A study on Huh-Jun's 「seupjaksil」 series

한국문예비평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건우의 삶과 예술

Lee Geon-woo's Life and Art

음악과 민족 | 39 | 2010 | 음악학

이건우의 삶과 예술

Lee Geon-woo's Life and Art

음악과 민족 | | 39 | 2010 | 음악학

이주홍 해방공간 소설 연구 - 이념 전환의 소설적 양상 -

Lee, Ju-Hong Liberation Space Novel Research - Novel Aspect of Ideological Changes -

한국문학논총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치적 현실과 시의 대응양식 -설정식의 시세계-

Political reality & Style of poetry - a study on Seol Jung-Sik -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치적 현실과 시의 대응양식 -설정식의 시세계-

Political reality & Style of poetry - a study on Seol Jung-Sik -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공간의 스파이 이야기와 정치적 함의

Spy Story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in South Korean Liberation Days (August 1945~August 1948)

역사학연구 | 41 | 2011 | 역사학

해방공간과 이념적 선택의 도상학

Liberation space and iconology of ideological choice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잔등」, 「압록강」, 『요코이야기』,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Remaining Japanese's repatriation in the Liberation of Korean(1945 - 1948)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잔등」, 「압록강」, 『요코이야기』, 『흐르는 별은 살아있다』를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Remaining Japanese's repatriation in the Liberation of Korean(1945 - 1948)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단지의 수사학 ―해방 공간의 ‘삐라’를 중심으로―

ビラの修辞学

한국학논총 | 35 | 2011 | 역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