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

연구분야 : A030400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440

한자 : 解體
영어 : deconstruction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해체시 [ 解體詩 ]

시나리오 하모니의 공간 구성 방법

The Space Organization in Harmony, a Movie Scenario

한국문예비평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나리오 하모니의 공간 구성 방법

The Space Organization in Harmony, a Movie Scenario

한국문예비평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5․18 서사로서의 <햄릿>과 기국서의 연극사적 위치 -<기국서의 햄릿> 연작을 중심으로-

Hamlet as an epic 5ㆍ18 and Ki Kukseo's position in Korean theatre history -focused on Ki Kukseo's Hamlet series-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아케다와 자크 데리다의 윤리적 종교성

The Akedah and Jacques Derrida's Ethical Religiosity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아케다와 자크 데리다의 윤리적 종교성

The Akedah and Jacques Derrida's Ethical Religiosity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Tsi-Shin Kut of Younghi Pagh-Paan, Deconstruction or Representation of Folk sound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Tsi-Shin Kut of Younghi Pagh-Paan, Deconstruction or Representation of Folk sound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The Subject of Religion

종교의 주제/주체

신학과철학 | 19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해체 시대의 서정 -프랑스와 한국현대시의 서정 논의를 중심으로

du lyrisme à l'ère de déconstruction - Sur le néo-lyrique français et coréen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2010 | 프랑스문화학

해체 시대의 서정 -프랑스와 한국현대시의 서정 논의를 중심으로

du lyrisme à l'ère de déconstruction - Sur le néo-lyrique français et coréen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 2010 | 프랑스문화학

데리다의 후설 분석에 대한 검토 (Ⅰ)

A Reconsideration of Derrida’s Analysis of Husserl

철학연구 | 118 | 2011 | 철학

데리다의 후설 분석에 대한 검토(Ⅱ)

A Reconsideration of Derrida’s Analysis of Husserl(Ⅱ)

철학연구 | 119 | 2011 | 철학

결정불가능성의 장소: 이문열의 소설 속 어느 장소-기반 공동체에 대한 지리학적 이해

The Place of Undecidability: A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a Place-Based Community in Mun-Yol Yi's Fictio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결정불가능성의 장소: 이문열의 소설 속 어느 장소-기반 공동체에 대한 지리학적 이해

The Place of Undecidability: A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a Place-Based Community in Mun-Yol Yi's Fiction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지역화로 재생산된 셰익스피어: 번역(안)/각색된 「햄릿」을 중심으로

Localizing Shakespeare: A Study of Tradaptations of Hamlet Productions

Shakespeare Review | 48 | 2 | 2012 | 영어와문학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바흐친적 패러디 양식과 다성성의 세계

Antony and Cleopatra: Bakhtinian Pattern of Parody and a Polyphonic World

Shakespeare Review | 46 | 4 | 2010 | 영어와문학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바흐친적 패러디 양식과 다성성의 세계

Antony and Cleopatra: Bakhtinian Pattern of Parody and a Polyphonic World

Shakespeare Review | 46 | 4 | 2010 | 영어와문학

기연주의와 주의주의: 후기근대 낭만주의의 근대적 기원

Occasionalism and Voluntarism: Early Modern Origin of Post-modern Romanticism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기연주의와 주의주의: 후기근대 낭만주의의 근대적 기원

Occasionalism and Voluntarism: Early Modern Origin of Post-modern Romanticism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한나 아렌트의 방법론: 이론으로서의 ‘이야기 하기’

Hannah Arendt's Method: Storytelling as a Theory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한나 아렌트의 방법론: 이론으로서의 ‘이야기 하기’

Hannah Arendt's Method: Storytelling as a Theory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문자와 독서의 안티노미 데리다와 드 만의 경우

Antinomy between Letters and Reading Based on the Works of Jacques Derrida and Paul de Man

코기토 | 68 | 2010 | 기타인문학

문자와 독서의 안티노미 데리다와 드 만의 경우

Antinomy between Letters and Reading Based on the Works of Jacques Derrida and Paul de Man

코기토 | 68 | | 2010 | 기타인문학

리차드 커니의 재신론(Anatheism)과 가능성의 신성

Richard Kearney’s Anatheism and the Divine Possibility

장신논단 | 38 | 2010 | 기독교신학

리차드 커니의 재신론(Anatheism)과 가능성의 신성

Richard Kearney’s Anatheism and the Divine Possibility

장신논단 | | 38 | 2010 | 기독교신학

현대 폭력론에 관한 연구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론」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를 중심으로

A Study of Modern Violence Theory ― Derrida's Reading of Walter Benjamin's “Zur Kritik der Gewalt”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현대 폭력론에 관한 연구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론」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를 중심으로

A Study of Modern Violence Theory ― Derrida's Reading of Walter Benjamin's “Zur Kritik der Gewalt”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이미지와 텍스트의 해체적 실행으로서의 게리 힐의 비디오 아트: 80년대까지의 싱글채널 비디오 작품을 중심으로

Gary Hill's video art in 1980's as destructive execution of image and text

미술이론과 현장 | 12 | 2011 | 미술

신의 음성과 책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적 윤리

God’s Voice and Responsibility: The Kierkegaardian Ethic in Levinas’s and Derrida’s Thoughts

한국조직신학논총 | 28 | 2010 | 조직신학

신의 음성과 책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적 윤리

God’s Voice and Responsibility: The Kierkegaardian Ethic in Levinas’s and Derrida’s Thoughts

한국조직신학논총 | | 28 | 2010 | 조직신학

김춘수 시의 근원적 시간의식과 전통의 창조적 변용

Consciousness of Fundamental Time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Tradition in Kim Chun-su's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수와니 강의 천사』: 어머니 되기를 통한 수동적 여성성 해체

Deconstruction of Passive Womanhood in Seraph on the Suwanee

미국학 논집 | 42 | 3 | 2010 | 영어와문학

『수와니 강의 천사』: 어머니 되기를 통한 수동적 여성성 해체

Deconstruction of Passive Womanhood in Seraph on the Suwanee

미국학 논집 | 42 | 3 | 2010 | 영어와문학

수업 컨설팅의 실상과 그것의 해체

The Reality of Teaching Consulting and Its Deconstruction

교육철학연구 | 33 | 4 | 2011 | 교육학

한일 현대극의 전통수용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traditional acceptance on Modern drama for Korean and Japanese

일본근대학연구 | 34 | 2011 | 일본문화학

아동문학에 나타난 가족, 그리고 해체

The Family in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Disintegration

영어영문학 | 58 | 1 | 2012 | 영어와문학

『요나의 박 넝쿨』에 나타난 가부장적 위계질서 허물기

근대영미소설 | 17 | 1 | 2010 | 영어와문학

『요나의 박 넝쿨』에 나타난 가부장적 위계질서 허물기

근대영미소설 | 17 | 1 | 2010 | 영어와문학

춤 공연에서 재현된 젠더적 신체가 갖는 의미 -빌 티 존스(Bill. T. Jones)의 「고스트캐칭 Ghostcatching」을 중심으로-

Meanings of Gendered Body Represented in Dance Works -Bill T. Jones’s Ghostcatching -

무용예술학연구 | 34 | 34 | 2011 | 무용

컨템포러리 댄스의 몸

Dancer’s Body and the Open Structure of Contemporary Dance

무용예술학연구 | 34 | 34 | 2011 | 무용

영화 <박쥐>에 나타난 모호성의 전략 고찰

Thirst, vampire, other, dichotomy, deconstruction, strategy of ambiguit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의 해체론적 접근 - 바바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

The Deconstructive Approach to the Postcolonial Theory of Culture

범한철학 | 61 | 2 | 2011 | 철학

수행의 상형문자: 해체론적 영화이론

Hieroglyph of Performance: Deconstructive Film Theory

문학과 영상 | 12 | 2 | 2011 | 영상문학

대중문화세계에서 회화·영화 속 이미지에 대한 융합·통일·차이의 철학적 분석 ― 데리다의 해체회화론, 들뢰즈의 감각논리회화론·이미지영화이론을 토대로 ―

The philosophical analysis for the image in painting·cinema in the world popular culture by fusion·unification·difference - By Derrida's theory of the deconstructive painting and Deleuze's theory of painting of the logic of sensation·theory of cinema of image -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와 타자성

L'Hospitalité inconditionnelle et l'altérité Chez Derrida

프랑스 문화 연구 | 24 | 2012 | 프랑스문화학

텍스트 읽기의 열린 가능성과 그 한계 -드 만의 해체 독서와 리쾨르의 미메시스 독서-

Open Possibility of Reading and its Limite: Deconstruction and Reading as Mimesis

해석학연구 | 29 | 2012 | 철학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자연관에 의한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by Nietzsche's Dionysian Outlook on Natur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3 | 2011 | 디자인

바디페인팅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llegory Appearing in Body Painting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3 | 4 | 2011 | 의상

클라이스트의 노벨레 「산토도밍고 섬의 약혼」 - 이분법적 사고와 흑백논리의 비극 -

Heinrich von Kleists Novelle Die Verlobung in St. Domingo - Tragik des Dualismus und Schwarz-Weiß-Denkens

독일언어문학 | 54 | 2011 | 독일어와문학

남성성의 해체 양상 -2000년대를 전후한 남성 극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DECONSTRUCTION OF MASCULINITY: Works of Korean Male Playwrights around 2000: Yoon Dae-sung, Jang Jung-il, Park Keun-hyung, Yoon Young-sun-

한국연극학 | 42 | 2010 | 연극

남성성의 해체 양상 -2000년대를 전후한 남성 극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DECONSTRUCTION OF MASCULINITY: Works of Korean Male Playwrights around 2000: Yoon Dae-sung, Jang Jung-il, Park Keun-hyung, Yoon Young-sun-

한국연극학 | | 42 | 2010 | 연극

다다주의의 실험적 조형성과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Allegory and experimental formativeness of Dadaism

기초조형학연구 | 12 | 6 | 2011 | 예술일반

재일 동포 문학에 나타난 사회적 특성 고찰

A Study of the Social Character in the Korean Resident’s Literature in Janpan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포스트’ 시대 질적 연구방법론의 경향과 논리: 해체와 생성의 패러다임

Trends and the logic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Post-” era: The paradigm of deconstruction and becoming

유아교육연구 | 31 | 6 | 2011 | 교육학

융복합시대 사진 조각의 탈경계적 해체표현 연구

A Study on Cross-Boundary De-Constructive Representation of Photo Sculpture in the Age of Convergence

정보디자인학연구 | 14 | 2 | 2011 | 정보디자인

노자의 미학적 관점으로 본 전통공간의 해체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ace Analyzed by Aesthetic Idea of Lao-tz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2 | 2012 | 디자인

디지털 다이어그래피의 해체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ve Representation of Digital Diagraphy

정보디자인학연구 | 15 | 1 | 2012 | 정보디자인

비해체적 해체신학-마크 테일러의 'A/theology' 존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0 | 2010 | 기독교신학

비해체적 해체신학-마크 테일러의 'A/theology' 존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70 | 2010 | 기독교신학

성공신화와 오리엔탈리즘의 연계적 전략의 허구성

Fictitiousness in Strategic Connection Between Orientalism and American Dream

외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다층적 비표상 관점에서의 해체 타이포그래피 연구 -디지털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Research on De-Construction Typography from a Multi-layered Non representation Perspective -Centering on Digital Typography-

정보디자인학연구 | 14 | 1 | 2011 | 정보디자인

도가사상에서 구속적 정서의 해체 이론

Deconstruction Theory of Restrictive Sentiments in Daoism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도가사상에서 구속적 정서의 해체 이론

Deconstruction Theory of Restrictive Sentiments in Daoism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미래주의의 실험적 조형성과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Allegory and experimental formativeness of Futurism

기초조형학연구 | 11 | 2 | 2010 | 예술일반

미래주의의 실험적 조형성과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Allegory and experimental formativeness of Futurism

기초조형학연구 | 11 | 2 | 2010 | 예술일반

사진 인덱스 특성과 시간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자 작품의 이론적 고찰과 조형적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heoretical and Formative Analysis of My own's work focusing on the Photographic Index and Time

조형교육 | 40 | 2011 | 미술교육

해체미학의 선구 머스 커닝엄

Merce Cunningham -the Pioneer of the Deconstructive Aesthetics

무용예술학연구 | 35 | 35 | 2012 | 무용

‘재현/현시 해체’와 ‘2차적 실재’의 귀환: 영화적 상상력을 넘어서

Deconstruction of Representation/Presentation and Returning to the Second Real: Beyond the Cinematic Imagination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20세기 현대회화의 비정형 경향연구

Art Informel of the Modern Paintings in the 20th Century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20세기 현대회화의 비정형 경향연구

Art Informel of the Modern Paintings in the 20th Century

기초조형학연구 | 11 | 3 | 2010 | 예술일반

내면의 표출과 자화상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ner expression and self-portrait - focused on Writer's Work

예술과 미디어 | 10 | 1 | 2011 | 기타예술일반

포스트모던조직론과 노자의 「道德經」 : 解体(差延)를 중심으로

Towards a Theory of the Postmodern Organizations and Lao-tzu’s Work 「Tao Te Ching」 : Focused on the Deconstruction(Différance) Concept

한국행정사학지 | 26 | 2010 | 행정사

포스트모던조직론과 노자의 「道德經」 : 解体(差延)를 중심으로

Towards a Theory of the Postmodern Organizations and Lao-tzu’s Work 「Tao Te Ching」 : Focused on the Deconstruction(Différance) Concept

한국행정사학지 | | 26 | 2010 | 행정사

현대시의 장르 해체적 징후와 표지

The genre de-constructing sings and marks in Modern poetry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무의 지위에 대한 해석 (1) -『존재와 시간』에서 무가 갖는 세계와 자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the Status of the Nothing in Heidegger’s Thought -Focusing on the Relation of the Nothing to the World and the Self-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

Literarizität in Zeiten der Kulturwissenschaft? ― Zur Aktualität der Linguistik in der Literatur- und Filmwissenschaft

독어독문학 | 51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Literarizität in Zeiten der Kulturwissenschaft? ― Zur Aktualität der Linguistik in der Literatur- und Filmwissenschaft

독어독문학 | 51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해체의 양상으로서 여백 - 프랑스와 한국현대시에서

du blanc, moment de déconstruction - dans la poésie contemporaine française et coréenne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해체의 양상으로서 여백 - 프랑스와 한국현대시에서

du blanc, moment de déconstruction - dans la poésie contemporaine française et coréenne

불어불문학연구 |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해체와 노마드적 표현에 관한 연구 - 박동진의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construction and Non-sedentary Expression - Based on Park Don-Jin's Paintings -

예술과 미디어 | 10 | 2 | 2011 | 기타예술일반

해체시 읽기 방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Reading Method of De-construction Poems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체시 읽기 방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Reading Method of De-construction Poems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용훈 초기 연극에서 나타나는 몽타쥬 작업을 통한 이미지극

Image play through the montage work seen in the early plays of Choi, Yong Hoon

한국연극학 | 1 | 47 | 2012 | 연극

디지털 뉴 미디어 아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 -포스트 해체주의의 다원적 시론으로서-

A Study on the Interface of Digital New Media Art

조형미디어학 | 15 | 3 | 2012 | 기타미술

말 형상의 차용을 통한 다원적 조형 -박동진의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Pluralistic Plasticity through the Use of the Image of a Horse - Based on Park Don-Jin's Paintings-

조형미디어학 | 14 | 4 | 2011 | 기타미술

짧은 순간의 긴 충격이 주는 시간성의 미학 - 본인의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

The aesthetics of temporality given by long shock of a short duration - Based on Sa, Yun-Taek's Paintings -

예술과 미디어 | 11 | 1 | 2012 | 기타예술일반

디지털 뉴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포스트해체주의의 미학적 시론으로서-

A Study on the Interactivity of Digital New Media Art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江戶人의 신체에 대한 好奇心과 視覺遊戱

Curiosity and Optic play for the Edo human bodies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