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

연구분야 : A030407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현상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8401

STNet ID : 9001334

한자 :
프랑스어 : Derrida, Jacques
프랑스어 : Derrida
프랑스어 :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텔켈 그룹 [Tel Quel Group]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예일 학파 () [ --學派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폴 드 만 [de Man, Paul]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호미 바바 [Bhabha, Homi K]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레비나스 () [Levinas, Emmanuel]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그래피즘 [Graphism]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하이퍼텍스트 시 [ --詩 ]

RT (관련어)

사제관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라쿠 라바르트 [Lacoue-Labarthe, Philippe]

RT_Y (◄관련어)

관련인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해체시 [ 解體詩 ]

죽음과 책임의 계보학: 데리다의 『죽음의 선물』 다시 읽기

Genealogy of Death and Responsibility:Rereading Derrida’s The Gift of Death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죽음과 책임의 계보학: 데리다의 『죽음의 선물』 다시 읽기

Genealogy of Death and Responsibility:Rereading Derrida’s The Gift of Death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조건적 용서와 무조건적 용서의 화해를 향하여 -블라디미르 얀켈레비치, 자끄 데리다, 폴 리꾀르의 용서이론에 대한 고찰

Toward the Reconciliation between Conditional Forgiveness and Unconditional Forgiveness: A Study on the Theory of Forgiveness of Vladimir Jankelevitch, Jacques Derrida, and Paul Ricoeur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6 | 2011 | 기독교신학

우연성, 유희성, 퇴폐성이 표현된 해체주의적 메이크업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econstuctional Makeup by Expression Technique of Contingency, Decadence and Play

대한미용학회지 | 6 | 3 | 2010 | 기타미용

신의 음성과 책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적 윤리

God’s Voice and Responsibility: The Kierkegaardian Ethic in Levinas’s and Derrida’s Thoughts

한국조직신학논총 | 28 | 2010 | 조직신학

신의 음성과 책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적 윤리

God’s Voice and Responsibility: The Kierkegaardian Ethic in Levinas’s and Derrida’s Thoughts

한국조직신학논총 | | 28 | 2010 | 조직신학

이육사 시의 시간의식 연구

A Study on the Time Consciousness of Lee Yuk-sa's poetry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번역의 윤리 ― 이해와 해석, 번역가의 소임, 낯섦에 대한 비판적 고찰

Ethic of translating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