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 바바

연구분야 : A150000 인문학 > 영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726

STNet ID : 9001426

한자 :
영어 : Bhabha, Homi K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푸코 ()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라캉 () [Lacan, Jacques-Marie-Emile]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데리다 () [Derrida, Jacques]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풀밭 위의 비둘기들 [Tauben im Gras]

RT (관련어)

 

 

탈식민주의 () [ 脫植民主義 ]

임화의 ‘이식문화론’에 나타난 탈식민성 - 호미 바바의 ‘혼종성’ 담론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알제리를 다룬 영화에 나타난 혼종적 정체성 - <추방된 사람들>(2004)과 <영광의 날들>(2006)을 중심으로

‘L'identité hybride’ dans les films sur Algérie – à partir d’Exils(2004)et d’Indigènes(2006)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2 | 2010 | 프랑스문화학

알제리를 다룬 영화에 나타난 혼종적 정체성 - <추방된 사람들>(2004)과 <영광의 날들>(2006)을 중심으로

‘L'identité hybride’ dans les films sur Algérie – à partir d’Exils(2004)et d’Indigènes(2006)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2 | | 2010 | 프랑스문화학

『제스처 라이프』에 나타난‘차별’과‘차이’의 징후적 읽기

A Symptomatic Reading of ‘Discrimination’ and ‘Difference’ in A Gesture Life

영어영문학 | 56 | 5 | 2010 | 영어와문학

『제스처 라이프』에 나타난‘차별’과‘차이’의 징후적 읽기

A Symptomatic Reading of ‘Discrimination’ and ‘Difference’ in A Gesture Life

영어영문학 | 56 | 5 | 2010 | 영어와문학

생존의 문화번역과 수키 김의『통역가』

Cultural Translation as Survival and Suki Kim’s The Interpreter

미국학 논집 | 43 | 2 | 2011 | 영어와문학

교향시 창시자 리스트의 재조명: 그 혁명성과 혼종성

A Reinterpretation of Franz Liszt as a founder of symphonic poem: The Manifestation of Hybridity

음악과 문화 | 25 | 2011 | 음악학

번역자의 책무—발터 벤야민과 문화번역

The Task of the Translator: Walter Benjamin and Cultural Translation

영어영문학 | 57 | 2 | 2011 | 영어와문학

또 다른 식민성: 버마 종족 관계의 역사적 전개와 카렌족의 식민성 형성에 관한 연구

Other Colonial Subjec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thnic Relations in Burma and Construction of Coloniality among the Karen

동남아시아연구 | 22 | 1 | 2012 | 지역학

Kulturelle Hybridität und Jugendzeit in Thomas Brussigs Am kürzeren Ende der Sonnenallee

토마스 브루시히의 소설 존『넨알레』에 나타난 문화혼종성과 청소년기

독어독문학 | 52 | 2 | 2011 | 독일어와문학

탈식민주의 문화 이론의 해체론적 접근 - 바바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

The Deconstructive Approach to the Postcolonial Theory of Culture

범한철학 | 61 | 2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