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

연구분야 : A030000 인문학 > 철학
E150200 의약학 > 정신과학 > 정신분석학/분석심리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5431

한자 :
프랑스어 : Lacan, Jacques-Marie-Emile
프랑스어 : Lacan, Jacques
프랑스어 : Lacan
동의어(UF) : 자크 라캉(Jacques Lacan)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줄리아 크리스테바 [Kristeva, Julia]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발리바르 [Balibar, Étienne]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슬라보예 지젝 () [Zizek, Slavoj]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호미 바바 [Bhabha, Homi K]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프로이트 () [Freud]

RT (관련어)

관련인물

c02-01 감정 감정

주이상스 () [Jouissance]

RT (관련어)

친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바타이유 [Bataille, Georges]

RT_Y (◄관련어)

관련 인물

c02-01 감정 감정

인정 욕망 () [ 認定慾望 ]

R2:기능적

advocates (주창 대상)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실재계 () [ 實在界 ]

주권과 인민주권: 라캉과 함께 아감벤을

Sovereignty and Popular sovereignty: G. Agamben with J. Lacan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19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오레스테아』에 나타난 모친살해의 상징과 주체 형성: 클라인과 라깡의 관점에서

The Symbol of Matricide and Subject Formation in Oresteia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오레스테아』에 나타난 모친살해의 상징과 주체 형성: 클라인과 라깡의 관점에서

The Symbol of Matricide and Subject Formation in Oresteia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이미지와 주체

Image and Subjectivity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

르페브르의 공간 및 도시공간 이론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A Psychoanalytical Comment on the Lefébvre’s Theory of the Space and the Urban Space focused on his Production of Space

현대정신분석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누가 실재계의 아버지를 두려워하랴?: 코맥 매카시의 핏빛 자오선과 국경 3부작에 나타난 아들의 콤플렉스

Who's Afraid of the Father of the Real?: The Son's Complex in Cormac McCarthy's Blood Meridian and the Border Trilogy

현대영미소설 | 19 | 2 | 2012 | 영어와문학

법/초자아에서 사랑으로—허먼 멜빌의『빌리 버드』에 나타나는 법, 폭력, 그리고 사랑의 가능성

From Law/Superego to Love: Law, Violence, and the Possibility of Love in Herman Melville’s Billy Budd, Sailor

영어영문학 | 57 | 5 | 2011 | 영어와문학

우리/라깡이 너무나 잘 알아서 잘 모르는 것:<빈 집>, <색 계>, <비몽>을 통한 라깡의 (남)성이론 재고

What Is Too Familiar for Us/Lacan to Know:Revisit to Lacanian Conception of Masculinity with Films 3-Iron, Lust, Caution, and Dream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우리/라깡이 너무나 잘 알아서 잘 모르는 것:<빈 집>, <색 계>, <비몽>을 통한 라깡의 (남)성이론 재고

What Is Too Familiar for Us/Lacan to Know:Revisit to Lacanian Conception of Masculinity with Films 3-Iron, Lust, Caution, and Dream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라캉의 정신분석으로 본 장 쥬네의 <하녀들>-하녀들의 도착과 윤리-

Perversion and Ethics in The Maids of Jean Genet interpreted by Lacanian psychoanalysis

한국연극학 | 41 | 2010 | 연극

라캉의 정신분석으로 본 장 쥬네의 <하녀들>-하녀들의 도착과 윤리-

Perversion and Ethics in The Maids of Jean Genet interpreted by Lacanian psychoanalysis

한국연극학 | | 41 | 2010 | 연극

도시와 성, 그리고 ‘법의 너머’로서의 사랑

The City and Sexuality, and the Love as ‘Beyond the Law’

비평과이론 | 17 | 1 | 2012 | 영어와문학

소외의 주체와 타자의 무대화 — 드릴로의 『바디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The Alienation of Subject and the Staging of the Other in Don Delillo's The Body Artist

영미어문학 | 102 | 2012 | 영어와문학

1970년대 이후 영국‘신미술사(New Art History)’의 방법론: 클락(T. J. Clark)과 폴록(G. Pollock)의 미술사 담론의 형성과 영향

Methods of‘ New Art History’in British Terrain since the 1970s: looking at the art historical perspectives of T. J. Clark and G. Pollock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프로이드와 라깡의 『리어왕』 해석을 경유한 『리어왕』의 ‘수치감’ 읽기

The Reading of ‘Shame’ in King Lear via Freud and Lacan interpretation of King Lear

Shakespeare Review | 47 | 4 | 2011 | 영어와문학

영어 학습 부진아와 분석가의 담론(Discourse of the Analyst): 교육과 치유 페다고지(Therapeutic Pedagogy)

A Therapeutic Pedagogy Based on Lacanian Psychoanalysis for EFL Underachievers: From the Discourse of the Analysis

현대정신분석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Lacan 거울단계 이론의 교육철학적 함의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Mirror Stage of Jacques Lacan

교육사상연구 | 25 | 2 | 2011 | 교육학

세네트의 도시문화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Consideration on the Theory of the City Culture of Richard Sennett

현대정신분석 | 13 | 1 | 2011 | 기타인문학

“Kill Dick”: 조승희의 희곡작품 분석을 통한 그의 정신 구조와 범행 동기 연구

“Kill Dick”: A Psychoanalytic Study on Seung Hui Cho's Plays, Psychical Structure, and Murder-Motivatio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Kill Dick”: 조승희의 희곡작품 분석을 통한 그의 정신 구조와 범행 동기 연구

“Kill Dick”: A Psychoanalytic Study on Seung Hui Cho's Plays, Psychical Structure, and Murder-Motivatio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새로운 문화담론: 감정의 문화사회학을 중심으로

Toward for A New Paradigm of Culture on Emotion: A Sociological Study of Religion

기독교사회윤리 | 20 | 2010 | 기독교신학

종교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새로운 문화담론: 감정의 문화사회학을 중심으로

Toward for A New Paradigm of Culture on Emotion: A Sociological Study of Religion

기독교사회윤리 | | 20 | 2010 | 기독교신학

이드의 기원을 찾아서: 게오르그 그로덱의 『이드에 관한 책』에 예기(豫期)된 학문융합적 층위

In Search of the Origin of the Id: Georg Groddeck’s The Book of the Id and Its Implications of Disciplinary Conversions

현대정신분석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싸이월드와 트위터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표현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Narcissistic Expression on Cyworld and Twitter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9 | 3 | 2011 | 디자인

라캉(Lacan)으로 읽는 <벼랑위의 포뇨>

Reading with Lacanian Perspective

어린이미디어연구 | 9 | 1 | 2010 | 유아교육

라캉(Lacan)으로 읽는 <벼랑위의 포뇨>

Reading with Lacanian Perspective

어린이미디어연구 | 9 | 1 | 2010 | 유아교육

도시공간 구성의 의미에 관한 인문학적, 정신분석적 고찰:랑시에르와 라깡을 중심으로

A Humanistic and Psychoanalytic Considera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itution of the City Space: focused on Rancière’s and Lacan’s Theory

현대정신분석 | 14 | 1 | 2012 | 기타인문학

멜랑꼴리의 모호한 대상

L’obscur Objet de la Mélancholie

현대정신분석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발터 벤야민과 도시경험-벤야민의 도시인문학 방법론에 대한 고찰

Water Benjamin and Experience of the City: Benjamin's Method of Urban Humanities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발터 벤야민과 도시경험-벤야민의 도시인문학 방법론에 대한 고찰

Water Benjamin and Experience of the City: Benjamin's Method of Urban Humanities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자크 라캉의 주체성과 게임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aques-Lacan’s Subjectivity and Game Interface

인문콘텐츠 | 22 | 2011 | 기타인문학

Che Vuoi, Jacques Zizek? : 현대 정신분석학과 한국 문학비평

Che Vuoi, Jacques Zizek? : Modern Psychoanalysis and Korean Literary Criticism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La profondeur dans le Visible chez Merleau-Ponty et le regard chez Laca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La profondeur dans le Visible chez Merleau-Ponty et le regard chez Laca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이상 시의 아이러니에 나타난 환상의 실패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에 관한 소고 -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읽은 「꽃나무」·「絶壁」·「空腹」에 대한 주석

The Study on a failure of the phantasy and a possibility of a ethical subject in the poetic irony of LeeSang.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 시의 아이러니에 나타난 환상의 실패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에 관한 소고 -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읽은 「꽃나무」·「絶壁」·「空腹」에 대한 주석

The Study on a failure of the phantasy and a possibility of a ethical subject in the poetic irony of LeeSang.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화 <블랙 스완>에 나타난 대타자의 파괴적 욕망 : 라캉의 ‘Object a’ 개념 및 욕망의 불가능성을 중심으로

Destructive desire in : Focusing on the Concept of Lacan's ‘Object a’ and Impossibility of Desire

영어권문화연구 | 4 | 1 | 2011 | 기타영문학

라깡에 따른 히스테리 주체와 기독교의 신앙고백

Hysteric Subjet of J. Lacan and Confession of Christianism : Le sujet hystérique selon J. Lacan et la Confession du Christianisme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

현대미술과 대중의 관계에 대하여:라깡의 ‘분석가 담화’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odern Art and the Mass: Focusing Lacan's the Discourse of Analyst

현대미술학 논문집 | 15 | 1 | 2011 | 예술일반

라깡과 버틀러, 위반과 전복의 담론: 성정체성, 젠더 멜랑콜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중심으로

Lacan and Butler, Discourse of Violation and Subversion: Gender identity, Gender Melancholy, Oedipus Complex

현대정신분석 | 14 | 1 | 2012 | 기타인문학

자기 동일시 관점에서 본 노스텔지어 감성의 시각화

Visualization of Nostalgia Sentiment Looking from the Self-Homogeneity Point of View

한국디자인포럼 | 31 | 2011 |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