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심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700

STNet ID : 9005454

한자 : 慧心
시호(諡號) : 진각국사(眞覺國師)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

 

진각 혜심 [ 眞覺慧諶 ]

UF (비우선어)

 

무의자 [ 無衣子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각운 (인명) [ 覺雲 ]

<普賢十願歌>와 禪詩를 통해 본 종교시의 서정성 문제

Matters of Lyric of the Religious Poetry through Bohyunsiwonga and Seonsi

고전문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普賢十願歌>와 禪詩를 통해 본 종교시의 서정성 문제

Matters of Lyric of the Religious Poetry through Bohyunsiwonga and Seonsi

고전문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편목 구성의 의미-避隱篇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the Content of Samgukyusa(三國遺事) - Illuminating the 'Pieun(避隱)' Chapter

보조사상 | 37 | 2012 | 종교학

『삼국유사』 편목 구성의 의미-避隱篇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the Content of Samgukyusa(三國遺事) - Illuminating the 'Pieun(避隱)' Chapter

보조사상 | 37 | 2012 | 종교학

고전시가 속 ‘漁父’ 모티프의 수용사적 고찰

A Study on the Motif of Fishermen in Korean Classical Poetry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

고전시가 속 ‘漁父’ 모티프의 수용사적 고찰

A Study on the Motif of Fishermen in Korean Classical Poetry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 송광사의 승보종찰 설정과 관련하여 試攷함

Status and Memory of Sixteen National Monks of the Sooseon Temple: Designation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 송광사의 승보종찰 설정과 관련하여 試攷함

Status and Memory of Sixteen National Monks of the Sooseon Temple: Designation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보조사상 | 34 | | 2010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