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적 중초

연구분야 : A020105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사회사(역사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749

STNet ID : 1001047

한자 : 戶籍中草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R1:개념적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호구 [ 戶口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호적대장 () [ 戶籍臺帳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호적 편성 [ 戶籍編成 ]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The social position and changes of mongolia posterity who were reside Jeju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The case analysis of Bongwan(family origin) ‘daewyon’ listed in Hojeokjungcho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The social position and changes of mongolia posterity who were reside Jeju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The case analysis of Bongwan(family origin) ‘daewyon’ listed in Hojeokjungcho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제주도 마을의 호적중초에 나타난 궨당관계의 변화

Change of Kwendang Relation in a Village on Jeju Island

한국문화인류학 | 44 | 3 | 2011 | 역사학

호적중초를 통해서 본 19-20세기 제주도 마을의 궨당관계

Kwendang (Descent and Marriage Network) Relations of 19-20C Jeju Islanders

비교문화연구 | 16 | 1 | 2010 | 인류학

호적중초를 통해서 본 19-20세기 제주도 마을의 궨당관계

Kwendang (Descent and Marriage Network) Relations of 19-20C Jeju Islanders

비교문화연구 | 16 | 1 | 2010 | 인류학

호적중초에 나타난 19세기 제주도 가족과 가구의 성격

Family and Household in 19C Jeju Islands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호적중초에 나타난 19세기 제주도 가족과 가구의 성격

Family and Household in 19C Jeju Islands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