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관

연구분야 : B140300 사회과학 > 행정학 > 행정조직/관리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802

한자 : 弘文館

y06-01 조직/단체명

시대4

조선시대 (朝鮮時代)

구분

관아 (官衙)

설립목적_t

궁중의 경서 ·사적의 관리, 문한의 처리 및 왕의 자문

설립일자_t

1463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영각 [ 瀛閣 ]

UF (비우선어)

 

 

옥서 [ 玉署 ]

UF (비우선어)

 

 

옥당 [ 玉堂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삼사 [ 三司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가록 [ 加錄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직학사 [ 直學士 ]

hasForm (형태/외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홍문관 교리 () [ 弘文館校理 ]

hasForm (형태/외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규장각 부제학 [ 奎章閣副提學 ]

조선시대 예문관 분관 실태와 한림의 관직 승진 양상

Placement of Officials to the Bureau of Chronicler and their Promotion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57 | 2011 | 역사학

조선전기 두시(杜詩) 이해의 지평과 『두시언해(杜詩諺解)』간행의 문학사적 의미

Prospect of Understanding Dubo's poem and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of publi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