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래그머티즘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8177

한자 :
영어 : Pragmatism

y02-01 문헌명

저작자

윌리엄 제임스

이론/사상1

실용주의 (實用主義)

저작년_t

1907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질적 사고와 창의성 : 예술교육을 위한 새로운 개념

Qualitative Thought and Creativity : The New Ideas for Arts Education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일제하~해방후 한치진(韓稚振)의 학문체계 정립과 ‘민주주의’론

Han Chi-jin’s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system after the occupation and liberation, and his argument for Democracy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일제하~해방후 한치진(韓稚振)의 학문체계 정립과 ‘민주주의’론

Han Chi-jin’s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system after the occupation and liberation, and his argument for Democracy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운동의 윤리와 캠페인의 모럴 -‘시와 정치’ 논쟁에 대한 프래그머틱한 부기(附記)

Ethics of Movements and the Moral of Campains -a pragmatic supplement to the 'politics and poetry' argument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HCI에서의 심미적 경험에 관한 프래그머티즘의 해명

On Some Pragmatist Explanations of Aesthetic Experience in HCI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분석미학의 주류와 전망

The Mainstream and Prospects of Analytic Aesthetics

미학예술학연구 | 32 | 2010 | 기타예술체육

분석미학의 주류와 전망

The Mainstream and Prospects of Analytic Aesthetics

미학예술학연구 | 32 | | 2010 | 기타예술체육

종교와 진리의 문제 -프래그머티즘의 관점-

Religion and the Problem of Truth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종교와 진리의 문제 -프래그머티즘의 관점-

Religion and the Problem of Truth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로티의 듀이 해석의 정당성과 유용성

The Validity and Utility of Rorty’s Interpretation of Dewey

철학 | 109 | 2011 | 철학

심미성을 상호작용 속에서 이해하라: HCI에 미학의 방법론을 적용하려는 연구경향에 관해

Think the aesthetic in interactions: On applying some approaches of aesthetics into HCI

기초조형학연구 | 12 | 2 | 2011 | 예술일반

상호작용 예술 혹은 상호작용 인공물: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HCI에 도입하려는 입장

Swing between Interactive Art and Interactive Artifacts: An Introduction of Pragmatist Aesthetics into HCI Researches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2010 | 예술일반

상호작용 예술 혹은 상호작용 인공물: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HCI에 도입하려는 입장

Swing between Interactive Art and Interactive Artifacts: An Introduction of Pragmatist Aesthetics into HCI Researches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 2010 | 예술일반

미국의 로맨스 소설과 프래그머티즘 철학과의 연속성에 관한 고찰—허먼 멜빌의『모비딕』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American Romance Novel and American Pragmatism: A Reading of Herman Melville’s Moby-Dick

영어영문학 | 58 | 2 | 2012 | 영어와문학

윌리엄 제임스의 진리관과 교육: 옛것과 새것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William James' View of Truth and Its Implications on Education: Focused on the 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the New

교육철학연구 | 47 | 2010 | 교육학

윌리엄 제임스의 진리관과 교육: 옛것과 새것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William James' View of Truth and Its Implications on Education: Focused on the 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the New

교육철학연구 | | 47 | 2010 | 교육학

로티의 아이러니스트와 사적인 자아창조

Rorty's Ironist and the Private Self-creation

사회와 철학 | 20 | 2010 | 철학일반

로티의 아이러니스트와 사적인 자아창조

Rorty's Ironist and the Private Self-creation

사회와 철학 | | 20 | 2010 | 철학일반

듀이의 다윈주의 수용과 그 의의

Dewey’s Acceptance of Darwinism and Its Significance

사회와 철학 | 22 | 2011 | 철학일반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연속성과 교육적 담론

John Dewey's Continuity in Aesthetics of Pragmatism and Educational Discourse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실용주의에서 본 행정이론의 내적 한계와 해결방안 - O.C McSwite의 행정이론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The Legitimacy Crisis of Mainstream Administrative Theories and Soul Searching by Pragmatic theoretical Lens - Case of Public Administration Storytelling of McSwite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 17 | 1 | 2010 | 행정학

실용주의에서 본 행정이론의 내적 한계와 해결방안 - O.C McSwite의 행정이론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The Legitimacy Crisis of Mainstream Administrative Theories and Soul Searching by Pragmatic theoretical Lens - Case of Public Administration Storytelling of McSwite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 17 | 1 | 2010 | 행정학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 논리

C. S. Peirce's View of Reality and the Logic of Inquiry: Its Implications for Inquiry Learning

교육철학연구 | 48 | 2010 | 교육학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 논리

C. S. Peirce's View of Reality and the Logic of Inquiry: Its Implications for Inquiry Learning

교육철학연구 | | 48 | 2010 | 교육학

교육철학 방법으로서의 프래그머티즘 재음미: 프랙티스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Pragmatism as a Method of Philosophy of Education: Connecting with the Concept of ‘Practice’

교육사상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교육철학 방법으로서의 프래그머티즘 재음미: 프랙티스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Pragmatism as a Method of Philosophy of Education: Connecting with the Concept of ‘Practice’

교육사상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