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Adoption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on in seon-sect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唐 中期 儒ㆍ佛 논의에 대한 일고찰-韓愈와 宗密의 ‘人’說 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fucian and Buddhist Discussions in the Mid-Tang Dynasty -Centering on “Humanity" Theory of Han Yu and Zong Mil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漢岩과 呑虛의 同異점 고찰
A study on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Hanam and Tanheo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한국의 千手觀音 信仰과 千手觀音圖
A Study on Sahasra-bhuja Avalokiteśvara Paintings of Korea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7 |
2012 |
정토학
고려후기 寫經 발원문의 의의
The meaning of a letter of vow in Sagyeong, in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백산학보 |
91 |
2011 |
역사학
수월관음도의 예술적 특성 연구
水月觀音圖之藝術特性硏究
미학예술학연구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수월관음도의 예술적 특성 연구
水月觀音圖之藝術特性硏究
미학예술학연구 |
31 |
|
2010 |
기타예술체육
수월관음도의 예술적 특성 연구
水月觀音圖之藝術特性硏究
미학예술학연구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수월관음도의 예술적 특성 연구
水月觀音圖之藝術特性硏究
미학예술학연구 |
31 |
|
2010 |
기타예술체육
梵鐘 타종횟수의 타당성 고찰 -佛國寺의 須彌梵鐘閣을 통한 이해를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Validity of Tolling Number of Temple Bell -Centering on understanding through Sumer Bell Tower of Bulguksa-
한국불교학 |
57 |
2010 |
종교학
梵鐘 타종횟수의 타당성 고찰 -佛國寺의 須彌梵鐘閣을 통한 이해를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Validity of Tolling Number of Temple Bell -Centering on understanding through Sumer Bell Tower of Bulguksa-
한국불교학 |
|
57 |
2010 |
종교학
통일신라시대 <華嚴石經>에 나타난 變相圖 연구
A Study of the Sutra Painting of the Avatamska Sutra Stone Inscriptions during the United Silla Period
서예학연구 |
20 |
2012 |
서예
관세음보살 사상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deology of Avalokitesvara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7 |
2012 |
정토학
唐代 五臺山 文殊聖地와 국가권력
唐代五臺山文殊圣地和国家权力
동양사학연구 |
119 |
2012 |
역사학
唐代 五臺山 文殊聖地와 국가권력
唐代五臺山文殊圣地和国家权力
동양사학연구 |
119 |
2012 |
역사학
고은의 초기소설에 나타난 ‘구도자의 변화양상’고찰
A consideration on Ko Un's early novels appeared in Changing Patterns of investigators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회도의 연구
A Study on Samsinbulhoedo in the Maine hall of Hwaeom Temple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회도의 연구
A Study on Samsinbulhoedo in the Maine hall of Hwaeom Temple
강좌미술사 |
|
34 |
2010 |
미술
新羅 眞殿寺院의 조영과 그 思想的 背景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백초월의 항일운동과 一心敎
Anti-Japan Activity and Ilsimgyo of Chowol Baek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 |
2011 |
정토학
義湘과 元曉의 관음신앙 비교-『三國遺事』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between Uisang and Wonhyo about Avalokitesvara belief
한국고대사연구 |
60 |
2010 |
한국고대사
義湘과 元曉의 관음신앙 비교-『三國遺事』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between Uisang and Wonhyo about Avalokitesvara belief
한국고대사연구 |
|
60 |
2010 |
한국고대사
화엄사 화엄석경의 판독과 조합 시론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11세기 吏讀資料로 본 符點口訣의 기입 시기
11世紀吏読資料から見た符点口訣の記入時期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탄허의 시대인식과 종교관
Tan huh's recognition of period and religious view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福建 「那羅岩碑記」와 신라승 元表 행적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11세기 吏讀資料로 본 符點口訣의 기입 시기
11世紀吏読資料から見た符点口訣の記入時期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만해 한용운의 개혁적 불교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 Hae, Han Yong Woon’s Reformist Buddhism
민족사상 |
5 |
4 |
2011 |
한국정치사상
헤세의 『싯다르타』와 고은의 『화엄경』
Siddhartha von Hesse und Avatamsaka Sutra von Ko Eun
헤세연구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헤세의 『싯다르타』와 고은의 『화엄경』
Siddhartha von Hesse und Avatamsaka Sutra von Ko Eun
헤세연구 |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海印寺 寺刊版 60卷 『華嚴經』變相版畵 考察
Woodcut Illustrations in the 60-Volume Temple-published Edition of Avatam. saka Su¯tra of Haeinsa Temple
미술사학연구 |
265 |
265 |
2010 |
미술
牧牛子 知訥 思想의 返照와 廻心
Moguja Chinul and his thought of the panjo hoesim(返照廻心)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華嚴經』의 禪觀 小考
A Study on the Philosphy of Zen in the Avatamska Sutra
禪學(선학) |
32 |
2012 |
응용불교학
再雕本 『華嚴經』에 附載된 卷末 音義의 起源
On the Origin of the Phonological Glossary (音義) appended to the Avataṃsaka-sūtra (華嚴經) in the Second-Edition Tripitaka Koreana (再彫大藏經)
진단학보 |
109 |
2010 |
역사학
再雕本 『華嚴經』에 附載된 卷末 音義의 起源
On the Origin of the Phonological Glossary (音義) appended to the Avataṃsaka-sūtra (華嚴經) in the Second-Edition Tripitaka Koreana (再彫大藏經)
진단학보 |
|
109 |
2010 |
역사학
『화엄경』의 연화장세계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in the Avatamsaka Sutra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4 |
2010 |
정토학
『화엄경』의 연화장세계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in the Avatamsaka Sutra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4 |
2010 |
정토학
화엄의 삼매와 무애행의 연관성
The Correlation of Samādhi and Unobstructed Practice in the Huayan jing
불교연구 |
33 |
2010 |
불교학
화엄의 삼매와 무애행의 연관성
The Correlation of Samādhi and Unobstructed Practice in the Huayan jing
불교연구 |
|
33 |
2010 |
불교학
『화엄경』의 여래장적 해석과 성불론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Buddha-nature About The Gaṇḍa-vyūha-sūtra And The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철학논총 |
67 |
1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