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정치

연구분야 : B0201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0035

한자 : 市民政治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정치 참여 [ 政治參與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정치 체제 [ 政治體制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시민 운동 [ 市民運動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안철수 현상 () [ 安哲秀現像 ]

안철수 현상, 그리고 희망 혹은 희망고문: 상식, 정의, 공유의 관점에서 본 2012년의 한국 정치

The Ahn Cheol-su Phenomenon and Hope or Hope Torture 2012 Korean Politic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on Sense, Justice and Sharing

경제와 사회 | 93 | 2012 | 사회학

대의민주주의의 균열 구조와 발전 구조 : 정보사회에서의 정부와 정당 대표성 간극을 중심으로

Cleavage Structure and Development Condi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 Representing Gap of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y in Information Society

사회이론 | 37 | 2010 | 사회학

대의민주주의의 균열 구조와 발전 구조 : 정보사회에서의 정부와 정당 대표성 간극을 중심으로

Cleavage Structure and Development Condi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 Representing Gap of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y in Information Society

사회이론 | | 37 | 2010 | 사회학

포스트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 정치: 거버넌스의 정치에 대한 소고

Korean Politics in the Post-Neoliberal Era: Politics of Governance

한국과 국제정치 | 28 | 1 | 2012 | 정치외교학

시민 네트워크 정치로의 가능성과 한계: 민주통합당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Potentiality and Limitation of Civic Network Politics A Case Study of Democratic United Party in South Korea

동향과 전망 | 85 | 2012 | 사회과학일반

시민정치의 부상과 정당정치

The Rising of Civic Politics and its Implication for Party Politics: Threat or Opportunity?

역사비평 | 98 | 2012 | 역사학

한국 정당정치의 변화 가능성과 시민정치운동: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party politics and citizen politics movem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process and outcomes of Seoul Mayoral by-election on 26 October 2011

법과사회 | 41 | 2011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