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운동

연구분야 : B081200 사회과학 > 사회학 > 정치사회학/사회운동론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087

한자 : 市民運動
독일어 : Burgerbewegung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시민 사회 운동 [ 市民社會運動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운동 [ 運動 ]

N1:종류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환경 시민 운동 [ 環境市民運動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시민 정치 [ 市民政治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시민 문화 [ 市民 文化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비판적 담론 공중 () [ 批判的談論公衆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정치 위기론 () [ 政治危機論 ]

RT (관련어)

 

x03-06-03 참여/중재 참여/중재

주민 운동 [ 住民運動 ]

Comparative Study for a Development Process of Constitutionalism in Indonesia and Korea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법치주의 발전과정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법학논총 | 26 | 2011 | 법해석학

보여주기의 문화정치학: 촛불집회, 퍼포먼스, 수행적 정체성

Cultural Politics of the Visibility: Candle-light Protest, Performance, and Ritual Identity

평화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보여주기의 문화정치학: 촛불집회, 퍼포먼스, 수행적 정체성

Cultural Politics of the Visibility: Candle-light Protest, Performance, and Ritual Identity

평화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생활정치와 로컬 거버넌스의 민주적 재구성

Life Politics and the Democratic Reconstruction of Local Governance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한국의 시민운동지표(Civil Action Index)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 유사지표와의 비교 연구 -

Precedent Study for the Korean Civil Action Index Research―A Comparative Study between CSI and other Social Indexes

신학과 사회 | 26 | 2 | 2012 | 기타인문학

2010 시민매니페스토운동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2010 Civic Movement for Manifestos

한국정치학회보 | 44 | 2 | 2010 | 정치외교학

2010 시민매니페스토운동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2010 Civic Movement for Manifestos

한국정치학회보 | 44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 정당정치의 변화 가능성과 시민정치운동: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party politics and citizen politics movem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process and outcomes of Seoul Mayoral by-election on 26 October 2011

법과사회 | 41 | 2011 | 법학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와 노동운동: 한국의 사례

Democracy and Labor Movement after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사회과학연구 | 50 | 1 | 2011 | 사회과학일반

민주적 법치국가에서 시민운동으로서 기독교 사회참여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as Civil Movement in Democratic State Governed by the Rule of Law

법학논총 | 24 | 2 | 2011 | 기타법학

참여연대를 통해 본 한국 시민운동의 변화: ‘대의의 대행 에서 ‘진보적 공론장의 형성자'로

Changes in Korean Civic Movement through the Lens of PSPD’s Development: From Intermediary of Representation to Producer of the Progressive Public Sphere

기억과 전망 | 26 | 2012 | 사회학

과테말라 시민사회의 과거청산 활동과 민주주의 발전

The Civil Society Movement and Development of Democracy in Transitional Justice of Guatemala

스페인어문학 | 63 | 2012 | 기타스페인문학

내부고발운동 평가와 향후 발전 방향 모색

Evaluating Whistleblowing Movement and Seeking the Development Plans for the future

한국부패학회보 | 17 | 1 | 2012 | 행정학

민주화 이후 광주지역 시민사회운동의 변화와 헤게모니 경쟁

The change of Gwangju civil society movement & hegemony competition arised in post-democratization

민주주의와 인권 | 12 | 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사회에서의 부패, 제도권 그리고 시민운동: 부패의 근본적 방지를 위한 연구

Corruption in Korean Society, Systems and Civil Movements: Study on fundamentally preventing corruption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사회에서의 부패, 제도권 그리고 시민운동: 부패의 근본적 방지를 위한 연구

Corruption in Korean Society, Systems and Civil Movements: Study on fundamentally preventing corruption

평화학연구 | 11 | 1 | 2010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