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지본 소설

연구분야 :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0256

한자 : --紙本小說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일제강점기 () [ 日帝强占期 ]

S:동의

UF (비우선어)

 

 

활자본 고소설 ()

UF (비우선어)

 

 

구활자본 고소설 [ 舊活字本 古小說 ]

UF (비우선어)

 

 

구활자본소설

UF (비우선어)

 

 

딱지본 대중소설 ()

UF (비우선어)

별칭

 

경판

UF (비우선어)

별칭

 

육전소설

R1:개념적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근대화 () [ 近代化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대중화 [ 大衆化 ]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국어사 자료로서의 ‘개화기 소설’-개화기 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list of Gae-hwa-gi's novel(開化期 小說) for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