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위

연구분야 : B0801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이론/사상사

클래스 : 계층/등급/계통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2689

한자 : 社會的地位
영어 : social status

x03-03 계층/등급/계통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x03-03 계층/등급/계통 계층/등급/계통

사회 경제적 지위 () [ 社會經濟的地位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사회경제적 상태 [ 社會經濟的 狀態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역할 행동 [ 役割行動 ]

affects (영향)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역할 지각 [ 役割知覺 ]

affects (영향)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화장 문화 () [ 化粧文化 ]

affects (영향)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가옥 구조 [ 家屋構造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학력 [ 學力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성격 [ 性格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능력 [ 能力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사회적 활동 [ 社會的活動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4-06 공동체 공동체

가문 [ 家門 ]

isAffectedBy (영향요인)

 

 

출신 [ 出身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직업 () [ 職業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수입 [ 輸入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인종 (종족) [ 人種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경제적 독립 () [ 經濟的獨立 ]

RT (관련어)

 

C02 심리 심리

복지 태도 () [ 福祉態度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계층 분화 () [ 階層分化 ]

朝鮮時代 地方 居住 士族의 社會的 地位 維持 努力과 司馬試 ―羅州 居住 司馬試 入格者 實態 分析을 中心으로―

An Analysi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Naju Area during the Chosun Dynasty

이화사학연구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朝鮮時代 地方 居住 士族의 社會的 地位 維持 努力과 司馬試 ―羅州 居住 司馬試 入格者 實態 分析을 中心으로―

An Analysi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Naju Area during the Chosun Dynasty

이화사학연구 |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Types and Functions of Summonses in The Age of Innocence

텍스트언어학 | 28 | 2010 | 언어학

Types and Functions of Summonses in The Age of Innocence

텍스트언어학 | 28 | | 2010 | 언어학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영어학습자의 거절전략비교

Refusals of Korean, Chinese and Indonesian English Learners.

언어과학연구 | 62 | 2012 | 언어학

양반을 향한 긴 여정-조선 후기 어느 하천민 가계의 성장

The Long Road to Becoming Yangban - A story about the familial promotion of a lowborn household in late Chosŏn

역사비평 | 98 | 2012 | 역사학

한국 대학생의 복지태도: Q방법론을 통해 본 세 가지 인식 유형

The Welfare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A Q-method Study of Three Types of Awareness

사회보장연구 | 28 | 2 | 2012 | 사회복지학

만주국 시기 조선인의 사회적 지위

The Social Status of Koreans in the Manchukuo Period

동북아역사논총 | 3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