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연구분야 : B010000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클래스 : 경제/산업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77

한자 : 職業
영어 : Occupation
영어 : job

b01-03 경제/산업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업(業) () [ 業 ]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신분 [ 身分 ]

affects (영향)

 

x03-03 계층/등급/계통 계층/등급/계통

사회적 지위 [ 社會的地位 ]

affects (영향)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정서 표현 규칙 () [ 情緖表現規則 ]

isAffectedBy (영향요인)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인구 사회학적 요인 [ 人口社會學的要因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경력 지향성 [ 經歷指向性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엑스턴십 [externship]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직업 의식 [ 職業意識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직업 지위 () [ 職業地位 ]

RT (관련어)

 

D02 제도(체제) 제도(체제)

직업 복지 체제 [ 職業福祉體制 ]

RT (관련어)

 

 

업무 시스템 [ 業務-- ]

RT (관련어)

 

 

직종 분화 [ 職種分化 ]

RT (관련어)

 

 

업무 분담 [ 業務分擔 ]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실업 [ 失業 ]

RT (관련어)

 

C02 심리 심리

직업 몰입 () [ 職業沒入 ]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진로 [ 進路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진로 교육 () [ 進路敎育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직업 적성 [ 職業適性 ]

RT_Y (◄관련어)

심리 대상

C02 심리 심리

직업 포부 () [ 職業抱負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직업 정체성 () [ 職業正體性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진정 직업 능력 [ 眞正職業能力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육각형 모형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해외 취업 [ 海外就業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직능 대표제 [ 職能代表制 ]

직업소명론 입장에서 본 기독교 정당 논의 비판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Issue of a Christian Political Party in Korea

기독교사회윤리 | 22 | 2011 | 기독교신학

자기개발을 위한 글쓰기의 효과적인 지도방안 - 대학교 1학년 학생을 위한

The Teaching Method of writing for self development - For freshman of University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울프가 베버를 만날 때: ‘직업’으로서의 글쓰기와 모더니스트의 ‘소명’

When Virginia Woolf meets Max Weber: “Professions for Women,” the Profession of Literature, and a Modernist's Vocation

현대영미소설 | 18 | 3 | 2011 | 영어와문학

세대에 따른 직업 관련 사회정체성의 사회심리학적 의미

The Social Psychological Meaning of Occupation-related Identities among Generations

한국인구학 | 34 | 3 | 2011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중학생의 양성 평등 의식 고양과 집안일 참여를 돕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

The Application of a Practical Problem-Based Lesson Plan for the “Understanding Myself and My Family” Unit to Heighten Awareness of Gender-role Equity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2 | 3 | 2010 | 교육학

중학생의 양성 평등 의식 고양과 집안일 참여를 돕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

The Application of a Practical Problem-Based Lesson Plan for the “Understanding Myself and My Family” Unit to Heighten Awareness of Gender-role Equity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2 | 3 | 2010 | 교육학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요인 분석: 서울지역 진로결정 집단별 비교

A Study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focusing on Seoul area

직업교육연구 | 31 | 3 | 2012 | 교육학

직업훈련이 조직몰입의 영향에 관한연구 -자격증 취득자 중심으로-

Vocational Training Study on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 10 | 7 | 2012 | 기타과학기술학

한국 성인 인구의 주관적 음성문제와 직업 요인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 the General Populatio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6 | 3 | 2011 | 교육학

외환위기 이후 현대소설에 나타난 ‘백수’들의 유형별 연구

Study of Different Types of 'Unemployed' in Modern Novels Written after the Foreign Currency Crisis

한국문예비평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환위기 이후 현대소설에 나타난 ‘백수’들의 유형별 연구

Study of Different Types of 'Unemployed' in Modern Novels Written after the Foreign Currency Crisis

한국문예비평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드라마의 호화로운 삶 묘사가 프로그램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ffluent Images Portrayed on TV Drama Programming on Program Ratings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5 | 1 | 2011 | 인터넷신문/방송

≪별건곤≫의 직업관련 기사와 그 특성

Occupational related reports of Byeolgeongon and the special feature

한국언어문화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별건곤≫의 직업관련 기사와 그 특성

Occupational related reports of Byeolgeongon and the special feature

한국언어문화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분석

An Analysis on the Occupations Described in 1st-4th Grade Tex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초등교육연구 | 24 | 1 | 2011 | 교육학

일본 진로교육의 현황에 관한 소론

日本のキャリア教育の現状に関する小論

한국일본교육학연구 | 16 | 1 | 2011 | 기타교육학

직업과 자아실현: 직업관과 노동윤리를 중심으로

The Job and the Self-realization: Concerning the Work Ethics

생명연구 | 19 | 2011 | 서양철학

건강기대여명 지표를 통해 본 직업과 건강 그리고 사망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Health, and Mortality Using Healthy Life Expectancy

통계연구 | 17 | 1 | 2012 | 경제학

세대 간 직업계층의 계승과 직업 지속성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Intergenerational Succession of Occupational Class and Occupational Continuation

직업능력개발연구 | 14 | 2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