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

연구분야 : B030400 사회과학 > 경제학 > 노동경제
B0805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산업/노동사회학

클래스 : 경제/경영/무역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9887

한자 : 失業
독일어 : Arbeitslosigkeit
영어 : unemployment

c03-04 경제/경영/무역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b01-03 경제/산업활동 /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고용 [ 雇傭 ]

hasAntonym (반의(대응)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취업 [ 就業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노동 문제 [ 勞動問題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사회적 위험 () [ 社會的危險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대졸 실업 [ 大卒失業 ]

hasKind (종류)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비자발적 실업 [ 非自發的失業 ]

hasKind (종류)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자발적 실업 [ 自發的失業 ]

hasKind (종류)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청년 실업 [ 靑年失業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 현상/이슈 현상/이슈

구직난 [ 求職難 ]

affects (영향)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고용 정책 [ 雇用政策 ]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실업률 [ 失業率 ]

affects (영향)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노동 경제 [ 勞動經濟 ]

hasIssue (이슈/주제)

 

 

노동 기회 차별 [ 勞動機會差別 ]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실업 극복 [ 實業克服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고용 형태 [ 雇用形態 ]

isAffectedBy (영향요인)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고용 체계 [ 雇傭體系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소득 보장 정책 [ 所得保障政策 ]

RT (관련어)

 

a01-06 인간(직업/지위/역할) 인간(직업/지위/역할)
a01-06 인간(직업/지위/역할) /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노동력 [ 勞動力 ]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직업 () [ 職業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복지 () [ 社會福祉 ]

R2:기능적

hasSolution (해결책)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실업 보조금 [ 失業補助金 ]

hasSolution (해결책)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공 고용 [ 公共雇用 ]

hasSolution (해결책)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재취직 훈련 [ 再就職 訓練 ]

세계화 맥락에서의 러시아 노동이주

중소연구 | 33 | 4 | 2010 | 사회과학

세계화 맥락에서의 러시아 노동이주

중소연구 | 33 | 4 | 2010 | 사회과학

프랑스 자활제도의 최근 동향과 정책적 함의

Recent Trends in Structure of the French Insertion by Economic Activi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한국사회정책 | 19 | 1 | 2012 | 의료/복지/사회정책

서비스산업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법적 과제

Legal Reform Proposal for the Aims of Job Creation through Promote of Service Industry

법제연구 | 38 | 2010 | 법학

서비스산업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법적 과제

Legal Reform Proposal for the Aims of Job Creation through Promote of Service Industry

법제연구 | | 38 | 2010 | 법학

고령자고용촉진제도의 사회법적 의미 - 고령자에 대한 기간제 근로계약을 중심으로 -

Legal Employment Promotion Strategy for aged Workers

법학연구 | 52 | 4 | 2011 | 기초법

탈산업화와 복지국가의 변모: 신제도주의에 대한 평가

Post-Industrialization and the Changes in Social Policy: An Evaluation on Neo-institutional Analysis

사회복지정책 | 38 | 3 | 2011 | 사회복지학

초국적 기업과 EU 소규모 국가 산업기반의 안정성: 르노와 벨기에 사례를 중심으로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Industrial stability in European Union's small economies: Focused on Renault and Belgian case

유럽연구 | 29 | 1 | 2011 | 지역학

다국적 기업과 유럽연합 소규모 국가 산업기반의 안정성: 벨기에, 아일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Industrial stability in European Union’s small economies: Focused on Belgian and Irish cases

EU연구 | 26 | 2010 | 지역학

다국적 기업과 유럽연합 소규모 국가 산업기반의 안정성: 벨기에, 아일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Industrial stability in European Union’s small economies: Focused on Belgian and Irish cases

EU연구 | | 26 | 2010 | 지역학

고용관계와 건강불평등: 경로와 메커니즘에 관한 탐색

Employment Conditions and Inequalities in Health: Pathways and Mechanisms

한국사회정책 | 18 | 2 | 2011 | 의료/복지/사회정책

일자리 창출 활성화 전략의 방향

The Strategy and Directions for Promotion of the Job-creation

한국지역경제연구 | 8 | 3 | 2010 | 지역경제

일자리 창출 활성화 전략의 방향

The Strategy and Directions for Promotion of the Job-creation

한국지역경제연구 | 8 | 3 | 2010 | 지역경제

후기산업사회에서 유럽복지국가의 사회정책 전략과 실업 및 빈곤의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policy strategies and the modalities of unemployment and poverty of European welfare state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사회복지연구 | 41 | 3 | 2010 | 사회복지학

후기산업사회에서 유럽복지국가의 사회정책 전략과 실업 및 빈곤의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policy strategies and the modalities of unemployment and poverty of European welfare state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사회복지연구 | 41 | 3 | 2010 | 사회복지학

남성의 고용상황과 결혼형성

Employment Status of Men and the Family Formation

노동정책연구 | 10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남성의 고용상황과 결혼형성

Employment Status of Men and the Family Formation

노동정책연구 | 10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Cyclicality of Wages, Separations and Unemployment

임금, 실직률, 실업률의 경기동행성

한국경제학보(구 연세경제연구) | 17 | 1 | 2010 | 계량경제/경제통계/비교경제

Cyclicality of Wages, Separations and Unemployment

임금, 실직률, 실업률의 경기동행성

한국경제학보(구 연세경제연구) | 17 | 1 | 2010 | 계량경제/경제통계/비교경제

19세기 말 영국 중부 산업 도시의 실업과 도시 공간의 주도권 문제: 노팅엄의 실업자 구제 사업과 헝거힐 가든 습격 사건을 중심으로

Unemployment and Struggle for Space in the Urban Context: Nottingham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unicipal Relief Works and the Hungerhill Gardens Attack)

영국연구 | 26 | 2011 | 역사학

실업급여 지급기간 변화의 효과 분석

The Effect of the Extended Benefit Duration on the Aggregate Labor Market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32 | 1 | 2010 | 경제학

실업급여 지급기간 변화의 효과 분석

The Effect of the Extended Benefit Duration on the Aggregate Labor Market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32 | 1 | 2010 | 경제학

玉觀彬의 상해 망명과 활동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Oak Guan-bin after Going to Shanghai as an Exile

한국근현대사연구 | 59 | 2011 | 역사학

Time series & Cross sectional 모형 기반 소지역 추정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ime series and cross sectional model based small area estimation

통계연구 | 15 | 1 | 2010 | 경제학

Time series & Cross sectional 모형 기반 소지역 추정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ime series and cross sectional model based small area estimation

통계연구 | 15 | 1 | 2010 | 경제학

복지제도에 대한 영국인들의 태도 변화, 1983-2010 ―실업을 중심으로―

Changes in British attitudes towards unemployment benefits and other welfare programs, 1983-2010

영국연구 | 27 | 2012 | 역사학

경기침체는 건강에 이로운가? 1991년~2009년 한국의 실업률과 사망률

Are Recessions Good for Your Health? Unemployment and Mortality Rates in South Korea, 1991∼2009

한국경제의 분석 | 17 | 3 | 2011 | 경제학

실업, 빈곤과 투표행태

Unemployment, Poverty and the Voting Behavior

한국경제연구 | 28 | 2 | 2010 | 경제학

실업, 빈곤과 투표행태

Unemployment, Poverty and the Voting Behavior

한국경제연구 | 28 | 2 | 2010 | 경제학

실업률 측정의 문제점과 보완적 실업지표 연구

Measurement of Unemployment and Extended Unemployment Indicators in Korea

노동경제논집 | 33 | 3 | 2010 | 경제학

실업률 측정의 문제점과 보완적 실업지표 연구

Measurement of Unemployment and Extended Unemployment Indicators in Korea

노동경제논집 | 33 | 3 | 2010 | 경제학

현행 실업급여 제도에 대한 재검토

Reassessment of Unemployment Benefit System

원광법학 | 28 | 1 | 2012 | 기타법학

On the Opportunity Cost of Unemployment

실업의 기회비용

제도와 경제 | 6 | 1 | 2012 | 경제학일반

경제위기 상황과 범죄발생의 관계 검증 : 1995-2005년 실업과 범죄 시계열자료 분석

Tes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Crisis and Crime : Time Series Analysis of Unemployment and Crime from 1995 to 200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19 | 3 | 2010 | 행정학

경제위기 상황과 범죄발생의 관계 검증 : 1995-2005년 실업과 범죄 시계열자료 분석

Tes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Crisis and Crime : Time Series Analysis of Unemployment and Crime from 1995 to 200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19 | 3 | 2010 | 행정학

실업과 소득격차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검증: 1995년에서 2008년까지의 시계열 자료 분석

Testing the Effects of Unemployment and Income Gaps on Suicide: Time Series Analysis by Using Monthly Data from 1995 to 200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20 | 1 | 2011 | 행정학

Unemployment and the Asset Market for Jobs

실업과 일자리의 자산 시장

한국경제학보(구 연세경제연구) | 19 | 1 | 2012 | 계량경제/경제통계/비교경제

실업의 지역간 격차와 구조적 특성

Regional Disparity of the Unemployment in Korea

국토지리학회지 | 45 | 2 | 2011 | 지리학

청년일자리 미스매치 요인분석 -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Factor Analysis on Job Mismatch of the Youth, in case of Gyeongsangnam-do, Province

한국지역경제연구 | 9 | 2 | 2011 | 지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