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연구분야 : B030400 사회과학 > 경제학 > 노동경제

클래스 : 수준/정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336

한자 : 失業率
영어 : unemployment rate

c01-03 수준/정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3-03 측정/척도 측정/척도

거시 경제 변수 [ 巨視經濟變數 ]

N1:종류

hasKind (종류)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청년 실업률 [ 靑年失業率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실업 [ 失業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국면 전환 모형 () [ 局面轉換模型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3-03 측정/척도 측정/척도
d03-03 측정/척도 /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필립스 곡선 [ --曲線 ]

RT (관련어)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연령 집단 () [ 年齡集團 ]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실업 문제 [ 失業 問題 ]

경기변동이 자영업이행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집단별 차이 -구축가설과 유인가설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ush factors on transition into self-employment across age groups - Focusing on push hypothesis and pull hypothesis -

사회복지연구 | 43 | 2 | 2012 | 사회복지학

남북한지역간 갈등 최소화와 공영을 지향하는 통일비용 지출

A New Approach to the Cost of Korean Unification: Minimizing the Conflict between Southerners and Northerners

통일연구 | 15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스페인 비정규직 정책의 내용 및 성과 분석

Contents and Effects of Spanish Labor Market Policies Regarding Temporary Employment

산업노동연구 | 17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오름, 내림 그리고 강조: 사회경제지표에 대한 미디어의 구성방식

Surge, Decline and Emphasize: Portrayals of Media on Socioeconomic Index

한국언론학보 | 55 | 6 | 2011 | 신문방송학

경제이슈를 중심으로 본 2010년 미국 중간선거

Economy and the 2010 U.S. Midterm Election

사회과학연구 | 18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예측가설과 한국의 필립스곡선, 1986-2008

Price Expectations and The Phillips Curve in Korea, 1986-2008

상업교육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예측가설과 한국의 필립스곡선, 1986-2008

Price Expectations and The Phillips Curve in Korea, 1986-2008

상업교육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경제위기와 자살 : 한국과 중남미 3개국의 비교

Economic Crisis and Suicide: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Three Latin American Countries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3 | 2010 | 지역학

경제위기와 자살 : 한국과 중남미 3개국의 비교

Economic Crisis and Suicide: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Three Latin American Countries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3 | 2010 | 지역학

경기동향과 실업률 간 장기적 관계의 안정성

Stability of Long-run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Trend and Unemployment Rate

국제경제연구 | 18 | 1 | 2012 | 경제학

실업률 변동체계의 장기적 안정성 분석

The Long Run Stability in the Domestic Unemployment System

국제경제연구 | 16 | 1 | 2010 | 경제학

실업률 변동체계의 장기적 안정성 분석

The Long Run Stability in the Domestic Unemployment System

국제경제연구 | 16 | 1 | 2010 | 경제학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이 실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on Unemployment

한국사회복지학 | 63 | 3 | 2011 | 사회복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