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력

연구분야 : B030400 사회과학 > 경제학 > 노동경제
B0805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산업/노동사회학

클래스 : 인간(직업/지위/역할)
행위/행동/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921

한자 : 勞動力

a01-06 인간(직업/지위/역할)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자

노동자 (勞動者)

행위대상(자)

직무 (職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X03 관계/상호작용 관계/상호작용

생산관계 () [ 生産關係 ]

N2:부분

NT (하위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외국인 노동력 [ 外國人勞動力 ]

NT (하위어)

 

 

유휴노력 [ 遊休勞力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입지 특성 [ 立地特性 ]

affects (영향)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성과 격차 [ 成果 隔差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노동 연구 [ 勞動硏究 ]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실업 [ 失業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경제적 지원 [ 經濟的支援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고용 계수 [ 雇用係數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생산 자본 [ 生産資本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추출 정책 [ 抽出政策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경제 활동 인구 [ 經濟活動人口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경제 활동 인구 [ 經濟活動人口 ]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noble women and the literary figurati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서의 국제적 노동이동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 해외취업 이출과 이주노동자 이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ime-Periodic Characteristic of Global Labor Migration in Korea : Focused on Overseas Employmented Worker and Migrant Worker in Korea

산업경제연구 | 24 | 5 | 2011 | 경제학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전망과 정책적 함의

Labor Force Shortage Proje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Impact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Korea

한국인구학 | 35 | 2 | 2012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분구 축조에 동원된 노동력의 산출과 그 의미 -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을 중심으로-

Estimating the Amount of Labor Force in Mound Construction and Its Implication - Examination on the Jar Coffin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호남고고학보 | 34 | 2010 | 역사학

분구 축조에 동원된 노동력의 산출과 그 의미 -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을 중심으로-

Estimating the Amount of Labor Force in Mound Construction and Its Implication - Examination on the Jar Coffin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호남고고학보 | 34 | | 2010 | 역사학

『補農書』를 통해 본 明末淸初 江南 農業의 施肥法

通过明末清初的『1補農書』来看江南农业的施肥法

중국사연구 | 74 | 2011 | 동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