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어 사전

연구분야 : A010000 인문학 > 사전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6857

한자 : 二重語辭典
영어 : bilingual dictionary
중국어 : 対訳辞典
동의어(UF) : 이중언어 사전(二重言語辭典)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lass (개념범주)

 

 

A04 인공물 Artifacts ()

CCType (개념범주type)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자료 [ 資料 ]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번역 () [ 飜譯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언어 사전 () [ 言語辭典 ]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사전 () [ 辭典 ]

N1:종류

hasKind (종류)

 

 

중한 사전 () [ 中韓辭典 ]

hasKind (종류)

 

y02-01 문헌명 문헌명

한영 사전 () [ 韓英辭典 ]

hasKind (종류)

 

 

불한 사전 () [ 佛韓辭典 ]

La première réception du Naturalisme en Corée dans et par la pratique de la double-traduction

한국 최초의 자연주의 문학 수용 : 중역의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 77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영문학 수용과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Park Tae-won's Experience Reading Foreign Literature and Rediscovering the 'Korean language(朝鮮語)'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작가 박태원의 외국문학 체험과 ‘조선어’의 발견―영문학 수용과 번역 작업을 중심으로

Park Tae-won's Experience Reading Foreign Literature and Rediscovering the 'Korean language(朝鮮語)'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언더우드의 이중어사전 간행과 한국어의 재편과정

A Published Bilingual Dictionary by Underwood and the Process of Reorganizing Modern Korean

동방학지 | 151 | 2010 | 기타인문학

언더우드의 이중어사전 간행과 한국어의 재편과정

A Published Bilingual Dictionary by Underwood and the Process of Reorganizing Modern Korean

동방학지 | | 151 | 2010 | 기타인문학

19세기 이중어 사전 한불자전(1880)과 한영자전(1911) 비교 연구

Une Etude Comparative sur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1880) et Korean-English Dictionary(1911)

한국프랑스학논집 | 72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19세기 이중어 사전 한불자전(1880)과 한영자전(1911) 비교 연구

Une Etude Comparative sur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1880) et Korean-English Dictionary(1911)

한국프랑스학논집 | 72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번역가의 왼손, 이중어사전의 통국가적 생산과 유통 -언어정리 사업으로 본 근대 한국(어문)학의 생성-

Translater's Left Hand, Transnational Inventing of Modern Korean Language -‘Republic of Korean Studies’ in Bilingual Dictionary -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