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론

연구분야 : A040100 인문학 > 종교학 > 종교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741

한자 : 終末論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종말신앙 [ 終末信仰 ]

N1:종류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20세기 종말론 [ 二十世紀終末論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묵시 문학적 종말론 [ 默示文學的終末論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2-01 문헌명 문헌명

정감록 [ 鄭鑑錄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묵시 사상 [ 默示思想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구원론 [ 救援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아포칼립스 [Apokalyptisches]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희망의 신학 [ 希望--神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이슬람교 [ --敎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조로아스터교 [zoroaster]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유대교 [ --敎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기독교 () [ 基督敎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y02-01 문헌명 문헌명

요한계시록 () [ --啓示錄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메시아 [Messiah]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중간 상태 () [ 中間狀態 ]

RT_Y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종말 [ 終末 ]

중세 유럽의 역사의식

The Medieval Sense of History

숭실사학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중세 유럽의 역사의식

The Medieval Sense of History

숭실사학 |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Ereignis의 존재사적 의미

Der seinsgeschichtliche Sinn des Wortes “Ereignis”

현대유럽철학연구 | 27 | 2011 | 서양철학

요한복음의 새 계명에 담긴 새로움의 의미

The Meaning of “Newness” in the New Commandment in the Fourth Gospel

Canon&Culture(캐논앤컬처) | 4 | 1 | 2010 | 서양종교

요한복음의 새 계명에 담긴 새로움의 의미

The Meaning of “Newness” in the New Commandment in the Fourth Gospel

Canon&Culture(캐논앤컬처) | 4 | 1 | 2010 | 서양종교

구교파의 종교문화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Old believers

人文科學硏究 | 28 | 2010 | 기타인문학

구교파의 종교문화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Old believers

人文科學硏究 | 28 | | 2010 | 기타인문학

귄터 안더스의 종말론적 미디어철학

Die apokalyptische Medienphilosophie von Günther Anders

사회와 철학 | 21 | 2011 | 철학일반

『투사 삼손』에 나타나는 아포칼립스적 ‘현재성’의 이중적 의미

The Double Meaning of Apocalyptic ‘Now’ in Samson Agonistes

중세근세영문학 | 21 | 2 | 2011 | 영어와문학

소선지서의 통일성 관점에서 호 14:4와 말 4:2의 치료(רפ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Healing(רפא) in Hos 14:4 and Mal 4:2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ty of the Minor Prophets

성경과 신학 | 56 | 2010 | 기독교신학

소선지서의 통일성 관점에서 호 14:4와 말 4:2의 치료(רפ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Healing(רפא) in Hos 14:4 and Mal 4:2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ty of the Minor Prophets

성경과 신학 | 56 | | 2010 | 기독교신학

오리게네스와 '만물의 회복'

Origen and the ‘Restoration of All Things’

한국교회사학회지 | 26 | 2010 | 기독교신학

오리게네스와 '만물의 회복'

Origen and the ‘Restoration of All Things’

한국교회사학회지 | | 26 | 2010 | 기독교신학

전쟁과 평화 - 레비나스의 정치철학을 통해서 본 동아시아의 평화 -

War and Peace. On Peace in East-As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al Philosophy of Levinas

日本思想 | 18 | 2010 | 철학

전쟁과 평화 - 레비나스의 정치철학을 통해서 본 동아시아의 평화 -

War and Peace. On Peace in East-Asi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al Philosophy of Levinas

日本思想 | | 18 | 2010 | 철학

주의 만찬의 교제적 성격-고전 11:23b-26을 중심으로

The Lord’s Supper for Fellowship-1 Corinthians 11:23b-25

신약논단 | 19 | 2 | 2012 | 기독교신학

윤동주 시의 예언자적 상상력 연구

A Study on the Prophetic Imagination of Yun, Dong-joo's Poetry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윤동주 시의 예언자적 상상력 연구

A Study on the Prophetic Imagination of Yun, Dong-joo's Poetry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W.C.C. 운동 평가: 총체적 복음의 관점에서

An Evaluation on W.C.C.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Gospel

개혁논총 | 16 | 2010 | 기독교신학

W.C.C. 운동 평가: 총체적 복음의 관점에서

An Evaluation on W.C.C.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Gospel

개혁논총 | 16 | | 2010 | 기독교신학

역대기사가의 분열왕국 전쟁기사에 나타난 전쟁이데올로기

War Ideology of the War Narratives in the Book of 2Chronicles

신학사상 | 156 | 2012 | 기독교신학

시편 49편과 전도서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salm 49 and Ecclesiastes

신학과 선교 | 40 | 2012 | 기독교신학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이해

A Theological Approach to the Eucharist

한국조직신학논총 | 27 | 2010 | 조직신학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이해

A Theological Approach to the Eucharist

한국조직신학논총 | | 27 | 2010 | 조직신학

17세기 고대 루시 문학 속의 파우스트 테마 : 『사바 그루드쯔인에 대한 이야기』와 독일 슈피스의 『민중본 요한 파우스트 박사의 이야기』, 그리고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포스터스 박사의 비극적인 이야기』 간의 비교

The Faustian theme in 17-thcentury's Russian Literature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17세기 고대 루시 문학 속의 파우스트 테마 : 『사바 그루드쯔인에 대한 이야기』와 독일 슈피스의 『민중본 요한 파우스트 박사의 이야기』, 그리고 크리스토퍼 말로우의 『포스터스 박사의 비극적인 이야기』 간의 비교

The Faustian theme in 17-thcentury's Russian Literature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김상복 목사의 생애와 사역과 신학

The Life, Ministry, and Theology of Rev. Sang-Bok Kim

한국교회사학회지 | 29 | 2011 | 기독교신학

칸트와 그리스도교 종말론

Kant und die Christliche Eschatologie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칸트와 그리스도교 종말론

Kant und die Christliche Eschatologie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존 웨슬리의 종말론과 성화(Sanctification)

John Wesley’s Eschatology and Sanctification

한국교회사학회지 | 32 | 2012 | 기독교신학

Forgiveness, Faith, and the Lordship of Jesus - A Contextual Reading of Luke 17:1-10

용서, 믿음, 그리고 예수의 주되심 - 누가복음 17:1-10의 문맥적 읽기

신약연구 | 11 | 3 | 2012 | 신약학

파국의 시대와 ‘지금 시간(Jetztzeit)’ : 발터 벤야민과 사도 바울의 새로운 역사적 시간의 패러다임

The Age of Catastrophe and the Jetztzeit : For the Paradigme of New Historical Time in Walter Benjamin and Saint Paul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종말론을 어떻게 볼까?

How to understand the Eschatology?

한국조직신학논총 | 33 | 2012 | 조직신학

종말론과 한국교회

Eschatology and Korean Churches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