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교

연구분야 : A040900 인문학 > 종교학 > 유대교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866

한자 : --敎
영어 : Judaism

y06-03 학파/종파명

소재지1

이스라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예루살렘 [Jerusalem]

S:동의

UF (비우선어)

 

 

유태교 [ --敎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쿰란 에세네파 [ --派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사두개파 [ --派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바리새파 [ --派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종말론 [ 終末論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y02-01 문헌명 문헌명

탈무드 [Talmud]

originatesFrom (기원/근원)

 

y02-01 문헌명 문헌명

구약성서 [ 舊約聖書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유대인 정책 [ --人政策 ]

RT (관련어)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디아스포라 () [Diaspora]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토라 [Torah]

RT (관련어)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유대인 여성 [ --女性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안식년 [ 安息年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바울 [Paulos]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할례 () [ 割禮 ]

누가-행전의 내러티브 정치

Narrative Politics in Luke-Acts

신약연구 | 11 | 3 | 2012 | 신약학

12세기 서방 라틴 세계의 종교와 철학의 문제 -아벨라르두스의 『비교토론 Collationes』를 중심으로-

Religion and Philosophy in the 12th Century Western Latin World -Abelard’s Collationes-

가톨릭철학 | 18 | 2012 | 철학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문명 이해 -화해와 평화 구축을 위해

The Understanding  of the Civilizations in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 For building up Reconciliation and Peace

신학과 사회 | 24 | 2 | 2011 | 기타인문학

예수는 율법을 폐지하려고 했는가?

Did Jesus abolish the Law?

역사와 담론 | 61 | 2012 | 역사학

The Politico-Religious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wo Talmuds

두 탈무드 탄생의 정치·종교적 환경

중동연구 | 28 | 3 | 2010 | 기타지역학

The Politico-Religious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wo Talmuds

두 탈무드 탄생의 정치·종교적 환경

중동연구 | 28 | 3 | 2010 | 기타지역학

구약성경과 유대교의 속죄와 '쩨다카'

Atonement and 'Tsedakah' in the Old Testament and Judaism

구약논단 | 16 | 1 | 2010 | 기독교신학

Concept of Usury and intolerance against interest: diverse Islamic, scriptural and legal perspectives

고리대금의 개념과 이자 금지에 대한 편협성: 이슬람, 성서, 그리고 법적인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2 | 2 | 2012 | 종교학

빌헬름 라베의 『배고픈 목사』를 통해 본 ‘문화적 코드로서의 반유대주의’

‘Antisemitismus als kultureller Code’ am Beispiel von W. Raabes Der Hungerpastor

독일언어문학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빌헬름 라베의 『배고픈 목사』를 통해 본 ‘문화적 코드로서의 반유대주의’

‘Antisemitismus als kultureller Code’ am Beispiel von W. Raabes Der Hungerpastor

독일언어문학 |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헬레니즘기 이후 서양 고대 세계의 지배자 숭배에 대한 저항 - 유대교와 기독교의 입장을 중심으로

Judaism and Christianity's View on the Ruler(the Emperor) Cult, the Resistance in the Hellenistic World

서양고대사연구 | 29 | 2011 | 역사학

유대교 외부의 히브리공동체의 정당성 확보와 리더십 경쟁 ‒히 13장 1014절을 중심으로

Hebrew Christian Community’s Security of Justification and Leadership Competition ―centered on Hebrews 13: 10−14

대학과 선교 | 22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요세푸스 해석을 통한 초기 유대교 연구: 예수, 칼리굴라, 페트로니우스

Eine Untersuchung zum Judentum des Josephus: Seine Interpretation von Jesus, Caligula, und Petronius

신학논단 | 69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하이네와 동화유대인 - ‘유대인문화․학문협회’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Heine und die assimilierten Juden - In Bezug auf seine Kritik an dem ‘Verein für Cultur und Wissenschaft der Juden’

괴테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하이네와 동화유대인 - ‘유대인문화․학문협회’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Heine und die assimilierten Juden - In Bezug auf seine Kritik an dem ‘Verein für Cultur und Wissenschaft der Juden’

괴테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이슬람교 경전에 나타나는 유대교 영향에 관한 연구: 미크라와 꾸란의 아브라함/이브라힘 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ewish Influence on the Islamic Scripture: Abraham/Ibrahim in the Miqra’ and in the Qur’an

중동문제연구 | 11 | 1 | 2012 | 지역학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무엇이 문제인가?

A Critical Review of 'New Perspective on Paul' What is at Stake of 'New Perspective on Paul'?

한국개혁신학 | 28 | 2010 | 기타기독교신학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무엇이 문제인가?

A Critical Review of 'New Perspective on Paul' What is at Stake of 'New Perspective on Paul'?

한국개혁신학 | 28 | | 2010 | 기타기독교신학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만남: 할라카와 아가다의 관점에서

A Dialogue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Halachah and Aggadah

한국조직신학논총 | 29 | 2011 | 조직신학

4Q246과 4Q521을 둘러싼 메시아 논쟁

Das Gesalbtenverständnis in 4Q246 und 4Q521

장신논단 | 43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유대주의 보편주의 관점에서 본 종말론적 순례의 전통

The Tradition of Eschatological Pilgr image in terms of Jewish Universalism

신약논단 | 17 | 3 | 2010 | 기독교신학

유대주의 보편주의 관점에서 본 종말론적 순례의 전통

The Tradition of Eschatological Pilgr image in terms of Jewish Universalism

신약논단 | 17 | 3 | 2010 | 기독교신학

헬레니즘기 이후 서양 고대 세계의 지배자 숭배에 대한 저항 - 유대교와 기독교의 입장을 중심으로

Judaism and Christianity's View on the Ruler(the Emperor) Cult, the Resistance in the Hellenistic World

서양고대사연구 | 29 | 2011 | 역사학

새 관점의 칭의 해석, 어떻게 볼 것인가? -그 비판적 평가와 새로운 대안 모색

A Critical Appraisal of the New Perspective View of Justification

신약연구 | 9 | 2 | 2010 | 신약학

새 관점의 칭의 해석, 어떻게 볼 것인가? -그 비판적 평가와 새로운 대안 모색

A Critical Appraisal of the New Perspective View of Justification

신약연구 | 9 | 2 | 2010 | 신약학

The Nation-State Building in Europe and the Emergence of Modern Judaism

유럽의 민족국가 건설과 근대 유대주의의 등장

중동연구 | 30 | 1 | 2011 | 기타지역학

맬러머드와 헤밍웨이 비교연구 —유다이즘과 규범의 관점에서—

A Comparative Study of Bernard Malamud and Ernest Hemingway —In View of Judaism and Code—

영어영문학연구 | 54 | 1 | 2012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