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 가능성

연구분야 : B130100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7593

한자 : 仲裁可能性
영어 : arbitration possibility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경쟁법 [ 競爭法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Y05 법률/제도명 법률/제도명

특허법 [ 特許法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사인 [ 私人 ]

일본법상 외국중재판정의 승인집행 -적용법규와 승인집행거부를 중심으로-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in Japan:Conventions, National law and Refusal of Recognition and Enforcement

중재연구 | 20 | 3 | 2010 | 무역학

일본법상 외국중재판정의 승인집행 -적용법규와 승인집행거부를 중심으로-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in Japan:Conventions, National law and Refusal of Recognition and Enforcement

중재연구 | 20 | 3 | 2010 | 무역학

일본에서 특허의 유효성에 대한 중재가능성-킬비 판결(일본 특허법 제104조의3)을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Arbitration of Patent in Japan -focusing on Kilby case(Japanese Patent Act Article 104-3-

중재연구 | 21 | 1 | 2011 | 무역학

지적재산권분쟁에 있어서 중재의 대상적격

The Arbitrability of the Subject-matter of Dispute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민사소송 | 14 | 1 | 2010 | 법학

지적재산권분쟁에 있어서 중재의 대상적격

The Arbitrability of the Subject-matter of Dispute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민사소송 | 14 | 1 | 2010 | 법학

중재법의 개정방향- 국제상사중재의 측면을 중심으로 -

Proposals for the Revision of the Korean Arbitration Act- with a Focus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

서울대학교 법학 | 53 | 3 | 2012 | 법학

독점규제법 관련분쟁의 중재의 대상적격

he Arbitrability of the Subject-matter of a Dispute on the Antitrust Law

중재연구 | 20 | 1 | 2010 | 무역학

독점규제법 관련분쟁의 중재의 대상적격

he Arbitrability of the Subject-matter of a Dispute on the Antitrust Law

중재연구 | 20 | 1 | 2010 | 무역학

징벌적 손해배상의 중재적격

The Arbitrability of the Subject-matter of Punitive Damages

중재연구 | 21 | 1 | 2011 | 무역학

미국에서의 중재인의 권한판단권한(Competence-Competence)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ompetence-Competence in the United States

중재연구 | 22 | 2 | 2012 | 무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