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9468

한자 : 李承薰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후기 (朝鮮後期)

출생지

평창 (平昌)

생몰년_t

1756-1801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영세자 [ 領洗者 ]

S:동의

UF (비우선어)

 

자술 [ 子述 ]

UF (비우선어)

 

만천 [ 蔓川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벽 () [ 李檗 ]

RT (관련어)

생질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가환 [ 李家煥 ]

제2차 조선교육령기 사립 중등학교의 정규학교 승격운동과 식민지 근대의 학교공간

The Movement for Authorizing the Private Secondary School and Colonial Modern Education Field in Korea during the 1920s and 1930s

중앙사론 | 32 | 2010 | 역사학

제2차 조선교육령기 사립 중등학교의 정규학교 승격운동과 식민지 근대의 학교공간

The Movement for Authorizing the Private Secondary School and Colonial Modern Education Field in Korea during the 1920s and 1930s

중앙사론 | 32 | | 2010 | 역사학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3ㆍ1운동 서술의 체계와 내용

3ㆍ1 Movement written in textbook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거울 모티프와 주체 분열 양상 — 이상과 이승훈 시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mirror of dis-identification' motif and the split aspect of the main agent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세계 교회사 속의 한국 교회

The church history of Korea in the World church history

신학논단 | 66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이승훈을 중심으로 본 천주교 수용과 유학자로서의 정체성 혼란

Acceptance of the Catholic and Identity Crisis as a Confucianist Focused on Lee Seung-Hoon

지역과 역사 | 29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