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 안정성

연구분야 : B030400 사회과학 > 경제학 > 노동경제

클래스 : 경제경영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0206

한자 : 柔軟 安定性
영어 : flexicurity

d02-03 경제경영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안정성 [ 安定性 ]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유연성 [ 柔軟性 ]

S:동의

UF (비우선어)

 

 

플렉시큐리티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직업 훈련 [ 職業訓鍊 ]

hasIssue (이슈/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안전망 [ 社會安全網 ]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고용 안정성 [ 雇傭安定性 ]

한·중·일 노동계약법제의 비교 -상호이해와 공존·경쟁을 위한 예로서-

Eine Vergleichung der Arbeitsvertragsgesetze von Korea, Japan und China - ein Beispiel zum wechselseitigen Verständnis und Wettbewerb

동북아법연구 | 6 | 1 | 2012 | 비교법학

‘불안정고용’(precarious work)의 시대 사회적 보호법제의 실효성과 사회통합적 일자리 창출 대안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rotection laws/institutions In the age of 'precarious work' and the social-integrative job creation strategies

한국사회정책 | 17 | 1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사회정책과 노동시장정책 개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이행노동시장’*

A New Paradigm for the Reform of Social Policy and Labour Market Policy: “Transitional Labour Markets"

국제지역연구 | 13 | 4 | 2010 | 지역학

사회정책과 노동시장정책 개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이행노동시장’*

A New Paradigm for the Reform of Social Policy and Labour Market Policy: “Transitional Labour Markets"

국제지역연구 | 13 | 4 | 2010 | 지역학

노르웨이 코포라티즘: 정당정치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에 따른 성격 변화

Norwegian Corporatism: The Change of Character due to party political and structural factor

국가전략 | 18 | 3 | 2012 | 정치외교학

프랑스 사회통합의 위기와 사르코지 정부의 개혁정책 평가

Cohesion Crisis in France and Evaluation of Reform policies of Sarkozy Government

국제지역연구 | 15 | 1 | 2011 | 지역학

한국 노동시장정책의 평가와 발전방안:이행노동시장 이론의 활용

Evaluation of Korean Labour Market Policie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Applying Transitional Labour Market Theory

노동정책연구 | 10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 노동시장정책의 평가와 발전방안:이행노동시장 이론의 활용

Evaluation of Korean Labour Market Policie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Applying Transitional Labour Market Theory

노동정책연구 | 10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주성분분석을 통한 노동시장 유연성 및 안정성 국제비교

Measuring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Security based on Principal Components

노동정책연구 | 10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주성분분석을 통한 노동시장 유연성 및 안정성 국제비교

Measuring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Security based on Principal Components

노동정책연구 | 10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독일 근로자파견법의 개정과 시사점

The changes of the Temporary Agency Work Act in Germany

노동정책연구 | 11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유연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정기능에 관한 노동법적 고찰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Law on the Mediation Functions for Flexicurity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

유연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정기능에 관한 노동법적 고찰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Law on the Mediation Functions for Flexicurity

법학연구 | 21 | 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