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문제

연구분야 : B020503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국제정치경제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094

한자 : 獨島問題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독도 영유권 () [ 獨島領有權 ]

hasIssue (이슈/주제)

 

x02-03 시점 시점

결정적 기일 () [ 決定的期日 ]

hasIssue (이슈/주제)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영유권 [ 領有權 ]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역사 왜곡 () [ 歷史歪曲 ]

hasIssue (이슈/주제)

 

X01 지명 지명

독도 (경상북도 울릉군) [ 獨島 ]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실효적 지배 [ 實效的 支配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역사 주권 [ 歷史主權 ]

한일회담기 한국 언론과 독도 문제- 1961∼65년 일본외교문서 자료를 중심으로 -

Korea's Media and the Dokdo issue during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 based on 1961∼1965 Foreign Affairs Documents of the Japanese Government

일본연구논총 | 33 | 2011 | 지역학

동아시아 영토갈등의 해결을 위한 레짐의 가능성과 한계 : 국제레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의 적용

Regime Theory to Resolve the Territorial Conflict in East Asia

국제지역연구 | 16 | 2 | 2012 | 지역학

독도문제의 주요 법적쟁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egal Issues of Dokdo Problem

해사법연구 | 22 | 2 | 2010 | 법학

독도문제의 주요 법적쟁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Legal Issues of Dokdo Problem

해사법연구 | 22 | 2 | 2010 | 법학

해양영토와 관련된 2000년 이후 ICJ 판결 분석 : 독도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 연구

A Critical Analyzation of the ICJ Decisions Relating to the Maritime Territory Since 21st Century :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ICJ Decisions for the Solutions of Dokdo Problem

해사법연구 | 22 | 1 | 2010 | 법학

해양영토와 관련된 2000년 이후 ICJ 판결 분석 : 독도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 연구

A Critical Analyzation of the ICJ Decisions Relating to the Maritime Territory Since 21st Century :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ICJ Decisions for the Solutions of Dokdo Problem

해사법연구 | 22 | 1 | 2010 | 법학

독도문제와 Critical Date에 관한 ICJ판결 분석

A Study on the Dokdo issue and legal concept of Critical Date -Case Study of ICJ Judgements-

법학연구 | 18 | 2 | 2010 | 기초법

독도문제와 Critical Date에 관한 ICJ판결 분석

A Study on the Dokdo issue and legal concept of Critical Date -Case Study of ICJ Judgements-

법학연구 | 18 | 2 | 2010 | 기초법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정치적 의도 - 자민당 의원들의 ‘울릉도 방문 소동’을 중심으로

Japan’s ‘Dokdo’ Policy and ‘Dokdo Question’ - Case of the dispute about a visit of members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to Ulleung Island

평화연구 | 20 | 1 | 2012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