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간 역사전쟁 : 독도 그 불편한 진실- 독도 영유권 문제를 둘러싼 한・일 양국 간 정부입장(Ⅰ・Ⅱ)에 대한 검토-
日韓歴史戦争:独島,その不都合な真実 -独島領有権問題をめぐる韓日両国間政府の立場(Ⅰ・Ⅱ)の検討-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러ㆍ일의 울도군 침탈과 대한제국의 대응 연구 -울도군수 심흥택의 보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unty Governor who Name is Sim Heungtag Report, Those Time of Invasion of Russia and Japan to the Island of Ulleung
군사 |
80 |
2011 |
역사학
이사부 생애와 활동의 역사적 의의
Biography of Isabu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his activities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이사부 생애와 활동의 역사적 의의
Biography of Isabu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his activities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한일 간 역사전쟁 : 독도 그 불편한 진실- 독도 영유권 문제를 둘러싼 한・일 양국 간 정부입장(Ⅰ・Ⅱ)에 대한 검토-
日韓歴史戦争:独島,その不都合な真実 -独島領有権問題をめぐる韓日両国間政府の立場(Ⅰ・Ⅱ)の検討-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러ㆍ일의 울도군 침탈과 대한제국의 대응 연구 -울도군수 심흥택의 보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unty Governor who Name is Sim Heungtag Report, Those Time of Invasion of Russia and Japan to the Island of Ulleung
군사 |
80 |
2011 |
역사학
일본 시마네현의 초중등학교 사회과에서의 독도에 대한 지역학습의 경향
Trends in Regional Studies Education on Dokdo in Social Studies Classe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himane Prefecture, Japan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5 |
2011 |
지리학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의 활동과 영토·영해 인식 - 울릉도·독도 인식을 중심으로 -
The Activities and Territorial Understanding of Kim Ok Gyun: The Land-Opening Official for the Southeastern Islands
동북아역사논총 |
36 |
2012 |
역사학
일본국내의 ‘죽도’ 영유권을 둘러싼 갈등 구조―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서를 둘러싸고 ―
日本文化學報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본국내의 ‘죽도’ 영유권을 둘러싼 갈등 구조―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서를 둘러싸고 ―
日本文化學報 |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독도의 지위와 영토 내셔널리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okdo Right and Territory Nationalism
일어일문학 |
50 |
2011 |
일본어와문학
독도명칭「우산도·석도·독도」의 생성 배경 -독도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을 위한 과제-
獨島名稱 「于山島・石島・獨島」の 生成 背景 -獨島問題の 本質と その 解決お 위한 課題-
백산학보 |
93 |
2012 |
역사학
조선 후기 울릉도의 搜討 기록에서 나타난 부속 도서 지명 연구
A Study on Routes of Exploration in Ulleung-do and Place Names of Affiliated Islands in Late-Joseon Period
문화역사지리 |
23 |
2 |
2011 |
인문지리학
일본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역사관과 고대사 서술 -2011년 검정통과본의 분석을 중심으로-
A view of history and narration of ancient history on Japanese historical textbook -focusing on analysis of an authorized textbook on 2011-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일본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역사관과 고대사 서술 -2011년 검정통과본의 분석을 중심으로-
A view of history and narration of ancient history on Japanese historical textbook -focusing on analysis of an authorized textbook on 2011-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의 활동과 영토·영해 인식 - 울릉도·독도 인식을 중심으로 -
The Activities and Territorial Understanding of Kim Ok Gyun: The Land-Opening Official for the Southeastern Islands
동북아역사논총 |
36 |
2012 |
역사학
배타적 경제수역의 경계획정
Exclusive Economic Zone’s Boundary Delimitation
법학연구 |
45 |
2012 |
법학
독도명칭「우산도·석도·독도」의 생성 배경 -독도문제의 본질과 그 해결을 위한 과제-
獨島名稱 「于山島・石島・獨島」の 生成 背景 -獨島問題の 本質と その 解決お 위한 課題-
백산학보 |
93 |
2012 |
역사학
미국의 동아시아 진출과 동해
The Value of East Sea in the U.S. Advance to East Asia
史叢(사총) |
76 |
2012 |
기타역사일반
흑해해양경계획정사건(루마니아 v. 우크라이나) 판결의 의의
Case concerning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Black Sea(Romania v. Ukraine)
서울국제법연구 |
17 |
1 |
2010 |
기초법
흑해해양경계획정사건(루마니아 v. 우크라이나) 판결의 의의
Case concerning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Black Sea(Romania v. Ukraine)
서울국제법연구 |
17 |
1 |
2010 |
기초법
한국의 해양안보위협의 변화와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미국의 新 국방전략지침 발표 이후 미·중 경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and Development Trends in Korea’ Maritime Security Threats
국가안보와 전략 |
12 |
3 |
2012 |
정치외교학
고지도상의 「우산도」 명칭에 관한 연구 -「석도=독도」 규명을 중심으로-
Old Map Research About 'Usado (于山島)' Names
일본근대학연구 |
36 |
2012 |
일본문화학
차자(借字)표기 방식에 의한 ‘석도=독도’설 입증
Proof of The 'Seokdo=Dokdo' Argument based on the Geographical Designation System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4 |
1 |
2012 |
정치외교학
17세기말, 안용복 사건을 통해 본 조일간의 해륙경계분쟁
Land and Sea Boundary Dispute between Chosun and Japan through the Case of An Yong-bok in the End of 17th Century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欝島郡守 沈能益 報告書(1909)를 통해 본 울도군 상황 연구
A Study on the Situation of Ul-do County through the Report written by the Governor, Sim Neung-Ik of Ul-do County(1909)
한국근현대사연구 |
58 |
2011 |
역사학
외국의 도서선점에 대한 일본의 승인과정과 그 논리-일본 외무성 편찬의 『國際法先例彙集(2)』을 중심으로-
The Recognition Process and Logic of Japan on the Occupation of Islands in Other Countries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일본의 독도 영유권 위증에 관한 연구 -시모죠 마사오의 사료 왜곡을 중심으로 한 고찰-
日本の獨島領有權の僞證に關する硏究 -下條正男の史料の歪曲を中心とする一考察-
日本學硏究 |
36 |
2012 |
일본어와문학
동아시아의 헤게모니 이동에 따른 국가 영역의 변동-영토 주권의 변천과 민권 자유와의 관계성-
東アジア3国間のヘゲモニ移動による領域の変動-領土主權の變遷と民權自由との關係性-
일어일문학연구 |
75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동아시아의 헤게모니 이동에 따른 국가 영역의 변동-영토 주권의 변천과 민권 자유와의 관계성-
東アジア3国間のヘゲモニ移動による領域の変動-領土主權の變遷と民權自由との關係性-
일어일문학연구 |
75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17세기말, 안용복 사건을 통해 본 조일간의 해륙경계분쟁
Land and Sea Boundary Dispute between Chosun and Japan through the Case of An Yong-bok in the End of 17th Century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1945~1951년 미소·한일의 대마도 인식과 정책
The Allied Powers, Korea, and Japan's View and Policy on the Tsushima Island after World War II
한국근현대사연구 |
59 |
2011 |
역사학
「田村清三郎」의 죽도 영유권 조작에 관한 연구 -평화선 선언에 대응한 일본의 논리계발-
Tamura Seizaburo Takesima = Japanese Territory Logical Fabrications
일어일문학 |
51 |
2011 |
일본어와문학
일본의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일로청한 명세신도」에 그려진 국경과 독도의 귀속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Dokdo Recognition of Japan - Focused on the Dokdo Attribution and Border Drawn in the 「New Map of Japan, Russia, China, and Korea(日露淸韓明細新圖)」-
한국지도학회지 |
10 |
1 |
2010 |
지도학
일본의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일로청한 명세신도」에 그려진 국경과 독도의 귀속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Dokdo Recognition of Japan - Focused on the Dokdo Attribution and Border Drawn in the 「New Map of Japan, Russia, China, and Korea(日露淸韓明細新圖)」-
한국지도학회지 |
10 |
1 |
2010 |
지도학
安龍福 연구현황과 과제
Research Status and Future Subjects on An, Yong-Bok
경주사학 |
34 |
34 |
2011 |
기타인문학
가와카미 겐조(川上健三)의 독도에 관한 역사적 권원 조작에 관한 연구 -평화선 선언시기 일본정부의‘죽도(竹島)=일본영토’논리조작을 중심으로-
独島の歴史的権限に対する川上健三の論理作りに関する研究 -平和線宣言期の‘竹島=日本領土’という日本政府の論理造りを中心に-
일본문화연구 |
39 |
2011 |
일본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울릉도 및 독도 인식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Historical Geography Books from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 Rule over Kore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7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對馬藩의 조선 교섭과 1693년 울릉도 영속시비
Tsushima Domain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Joseon and the Territory Dispute over Ulleungdo in 1693
동북아역사논총 |
37 |
2012 |
역사학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의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A Review on Precedent Study of the “Onshu Shicho Goki”7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의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A Review on Precedent Study of the “Onshu Shicho Goki”7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일본의 독도 이름 개칭에 관한 연구 - 松島에서 竹島로의 개칭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ing Name of Dokdo by Japan - focused on changing name from Matsushima to Takeshima -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후기 울릉도의 搜討 기록에서 나타난 부속 도서 지명 연구
A Study on Routes of Exploration in Ulleung-do and Place Names of Affiliated Islands in Late-Joseon Period
문화역사지리 |
23 |
2 |
2011 |
인문지리학
한국에 대한 ‘통상적 영어지명’ 형성과정에서의 영국 지리학회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British Geographic Societies on Formation of ‘Conventional English names’ on Korea
한국지도학회지 |
11 |
1 |
2011 |
지도학
Korean NGOs in Historicizing Foreign Affairs and Decmocratizing Foreign Policies: Agenda Setting and Discourse Framing in the Dokdo/Takeshima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2005~2008
한국 NGO의 외교문제 역사화와 외교정책 민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독도/다케시마 분쟁에 대한 의제 설정과 담론 형성을 중심으로, 2005~2008
국제관계연구 |
16 |
2 |
2011 |
정치외교학
한일협정에서 확인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한계성 - 비준국회(1965년 6월~12월)의 의회속기록을 중심으로 -
Limit of Dokdo Territory Right Claims of Japan on Korean-Japanese Agreement
일어일문학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일협정에서 확인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한계성 - 비준국회(1965년 6월~12월)의 의회속기록을 중심으로 -
Limit of Dokdo Territory Right Claims of Japan on Korean-Japanese Agreement
일어일문학 |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日本外務省 팜플렛에 나타난 竹島(다케시마)영유권주장 10포인트에 대한 연구: 近世부분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ten points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laims over Takeshima: Focus on the pre-modern er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日本外務省 팜플렛에 나타난 竹島(다케시마)영유권주장 10포인트에 대한 연구: 近世부분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ten points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laims over Takeshima: Focus on the pre-modern er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한일협정에 있어서 한국의 독도 주권 확립과 일본의 좌절-일본 비준국회의 의회속기록을 중심으로-
The 'Takesima' territory recognitions of Japanese government about Korea and Japanese treaty in Japanese National Assembly
일어일문학연구 |
74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일협정에 있어서 한국의 독도 주권 확립과 일본의 좌절-일본 비준국회의 의회속기록을 중심으로-
The 'Takesima' territory recognitions of Japanese government about Korea and Japanese treaty in Japanese National Assembly
일어일문학연구 |
74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국의 영토분쟁의 해결에 있어 역사비평적 접근의 시도
The Resolution of Territorial Disputes of Korea and the Historical Criticism Approach
서울국제법연구 |
17 |
1 |
2010 |
기초법
한국의 영토분쟁의 해결에 있어 역사비평적 접근의 시도
The Resolution of Territorial Disputes of Korea and the Historical Criticism Approach
서울국제법연구 |
17 |
1 |
2010 |
기초법
나카이요 사부로(中井養三郞)와 독도어업
Nakayo Saburo and Seal Fishing Industry of Dokdo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나카이요 사부로(中井養三郞)와 독도어업
Nakayo Saburo and Seal Fishing Industry of Dokdo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竹島渡海由來記拔書控』의 上納
pay to the authorities appeared in『竹島渡海由來記拔書控』
일어일문학연구 |
72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竹島渡海由來記拔書控』의 上納
pay to the authorities appeared in『竹島渡海由來記拔書控』
일어일문학연구 |
72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유럽과 한국에서 <독도>명칭 변천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새 한글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독도의 표기 문제
A Study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Appellation in Europe and Korea and the Problem of a New system of Notation of Korean Romanization of the Appellation ‘Dokdo’
한국지도학회지 |
11 |
2 |
2011 |
지도학
獨島에 대한 法制間 融合的 硏究
Study by Fusing of Domestic & International Legal Systems for Dok-Do
법학논총 |
27 |
2 |
2010 |
법학
獨島에 대한 法制間 融合的 硏究
Study by Fusing of Domestic & International Legal Systems for Dok-Do
법학논총 |
27 |
2 |
2010 |
법학
일본의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일로청한 명세신도」에 그려진 국경과 독도의 귀속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Dokdo Recognition of Japan - Focused on the Dokdo Attribution and Border Drawn in the 「New Map of Japan, Russia, China, and Korea(日露淸韓明細新圖)」-
한국지도학회지 |
10 |
1 |
2010 |
지도학
일본의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일로청한 명세신도」에 그려진 국경과 독도의 귀속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Dokdo Recognition of Japan - Focused on the Dokdo Attribution and Border Drawn in the 「New Map of Japan, Russia, China, and Korea(日露淸韓明細新圖)」-
한국지도학회지 |
10 |
1 |
2010 |
지도학
안용복 진술의 진위와 독도 강탈 과정의 위증
The Genuineness of Ahn Yong-Bok's Statement and the Misrepresented Evidence in the Forced-seizing Process of Dokdo by Japan
민족문화논총 |
44 |
2010 |
기타인문학
안용복 진술의 진위와 독도 강탈 과정의 위증
The Genuineness of Ahn Yong-Bok's Statement and the Misrepresented Evidence in the Forced-seizing Process of Dokdo by Japan
민족문화논총 |
|
44 |
2010 |
기타인문학
독도의 지위와 영토 내셔널리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okdo Right and Territory Nationalism
일어일문학 |
50 |
2011 |
일본어와문학
조선시대 ‘空島政策’의 허구성과 ‘搜討制’ 분석
A study on the falsehood of 'Gongdo Policy' and 'Sooto System' in Chosun Dynast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空島政策’의 허구성과 ‘搜討制’ 분석
A study on the falsehood of 'Gongdo Policy' and 'Sooto System' in Chosun Dynast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Precedent Study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Dokdo Sovereignty
한국해법학회지 |
32 |
2 |
2010 |
법학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Precedent Study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Dokdo Sovereignty
한국해법학회지 |
32 |
2 |
2010 |
법학
독도의 실효적 지배권 운영과정과 국토안보의 방향
Issue of Dominium over Dokdo and Homeland Security
군사연구 |
129 |
2010 |
역사학
독도의 실효적 지배권 운영과정과 국토안보의 방향
Issue of Dominium over Dokdo and Homeland Security
군사연구 |
|
129 |
2010 |
역사학
일본의 독도 영토교육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성 이해
A Understanding of Approach to the Japanese Territory Education on Dokdo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일본의 독도 영토교육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성 이해
A Understanding of Approach to the Japanese Territory Education on Dokdo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日本外務省 팜플렛에 나타난 竹島(다케시마)영유권주장 10포인트에 대한 연구: 近世부분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ten points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laims over Takeshima: Focus on the pre-modern er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日本外務省 팜플렛에 나타난 竹島(다케시마)영유권주장 10포인트에 대한 연구: 近世부분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ten points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laims over Takeshima: Focus on the pre-modern era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대일점령통치의 구조와 명령체계에서 본 SCAPIN 제677호의 의미
Understanding SCAPIN No. 677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Order Procedure of Allied Powers
인문사회과학연구 |
29 |
2010 |
학제간연구
대일점령통치의 구조와 명령체계에서 본 SCAPIN 제677호의 의미
Understanding SCAPIN No. 677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Order Procedure of Allied Powers
인문사회과학연구 |
|
29 |
2010 |
학제간연구
일본의 독도 영유권 위증에 관한 연구 -시모죠 마사오의 사료 왜곡을 중심으로 한 고찰-
日本の獨島領有權の僞證に關する硏究 -下條正男の史料の歪曲を中心とする一考察-
日本學硏究 |
36 |
2012 |
일본어와문학
초등학생들의 독도에 대한 기본 지식과 인식
Children’s Basic Knowledge and Cognition on Tokdo-Island, Korea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20 |
1 |
2012 |
지리학
1948년 미 공군에 의한 독도 폭격의 전개양상과 군사정책적 배경
Military Backgrounds and Progresses of Bombing of Dokdo Island by the USAF, 1948
동북아역사논총 |
32 |
2011 |
역사학
일제강점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울릉도 및 독도 인식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in Historical Geography Books from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 Rule over Kore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7 |
2011 |
역사학
한일 양국에서 누가 먼저 ‘독도’를 인지하였는가 -일본 외무성의 竹島 홍보 팸플릿의 포인트 1, 2 비판-
Who Recognized Dokdo First, Japan or Korea?
민족문화논총 |
44 |
2010 |
기타인문학
한일 양국에서 누가 먼저 ‘독도’를 인지하였는가 -일본 외무성의 竹島 홍보 팸플릿의 포인트 1, 2 비판-
Who Recognized Dokdo First, Japan or Korea?
민족문화논총 |
|
44 |
2010 |
기타인문학
울진 대풍헌 현판
Signboards of Uljin Daepungheon
대구사학 |
98 |
2010 |
역사학
울진 대풍헌 현판
Signboards of Uljin Daepungheon
대구사학 |
98 |
|
2010 |
역사학
한국과 일본의 독도 문제에 대한 미국의 인식 연구 :최근 역사교육계, 미국 정부, 언론계의 인식을 중심으로
韓國と日本の獨島問題に対する 米國の歷史認識硏究
한국일본교육학연구 |
15 |
2 |
2011 |
기타교육학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한일 양국의 핵심쟁점 검토
Some legal issues on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해사법연구 |
22 |
1 |
2010 |
법학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한일 양국의 핵심쟁점 검토
Some legal issues on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해사법연구 |
22 |
1 |
2010 |
법학
독도의 영유권분쟁 해결을 위한 compromis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omis to Settle the Dispute of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인권과 정의 |
406 |
2010 |
법학
독도의 영유권분쟁 해결을 위한 compromis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romis to Settle the Dispute of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인권과 정의 |
|
406 |
2010 |
법학
1900년대 초 일본 측 조선어업 조사 자료에 보이는 독도
Dokdo which appeared in materials on Joseon fisheries research carried out by Japan in the early 1900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유럽과 한국에서 <독도>명칭 변천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새 한글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독도의 표기 문제
A Study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Appellation in Europe and Korea and the Problem of a New system of Notation of Korean Romanization of the Appellation ‘Dokdo’
한국지도학회지 |
11 |
2 |
2011 |
지도학
중학교 사회1 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 분석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Dokdo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3 |
2011 |
기타지리학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 분석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Dokdo in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Textbooks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2 |
2012 |
기타지리학
한일간 동해 EEZ 경계획정분쟁에 관한 보도의 국제법적 분석
Analysis on Korean Newspaper Coverage from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regarding the Dispute on the EEZ Boundary Delimitation in the East Sea between Korea and Japan
저스티스 |
126 |
2011 |
기타법학
한국과 일본의 독도 문제에 대한 미국의 인식 연구 :최근 역사교육계, 미국 정부, 언론계의 인식을 중심으로
韓國と日本の獨島問題に対する 米國の歷史認識硏究
한국일본교육학연구 |
15 |
2 |
2011 |
기타교육학
1953~1954년 독도에서의 한일충돌과 한국의 독도수호정책
Korea-Japan conflict on Dokdo in 1953~1954 and Korea’s protection policy of Dokdo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시마네현(島根縣) 告示40호와 일본의 독도인식 한계
Shimane Prefecture Public Announcement No. 40 and Limitation of Japan's Claim to Dokdo.
한일군사문화연구 |
13 |
2012 |
기타군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