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문제

연구분야 : B0203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북한정치/통일

클래스 :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100

STNet ID : 9006034

한자 : 北韓問題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3 현상/이슈 현상/이슈

북한 식량난 [ 北韓食糧難 ]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북한 인권 문제 () [ 北韓人權問題 ]

hasKind (종류)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북핵 문제 () [ 北核問題 ]

R1:개념적

affects (영향)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북미 관계 [ 北美關係 ]

affects (영향)

 

x03-06 상호작용 상호작용

남북 관계 () [ 南北關係 ]

제6장 미국 오바마 정부의 외교·안보정책과 아·태 지역 전략 - 북한문제에 대한 함의 -

The U.S. Security and Foreign Policy and Asia-Pacific Strategy : Implications for the North Korea Problem

통일전략 | 11 | 4 | 2011 | 북한정치/통일

탈북자 정착지원에 관한 법적대응과 과제

Legal Ac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It's Tasks

안암법학 | 32 | 2010 | 법학일반

탈북자 정착지원에 관한 법적대응과 과제

Legal Ac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It's Tasks

안암법학 | | 32 | 2010 | 법학일반

일본 민주당의 동아시아 외교·안보전략과 한국의 대응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s Asian Policy and South Korea-Japan Relations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일본 민주당의 동아시아 외교·안보전략과 한국의 대응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s Asian Policy and South Korea-Japan Relations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아태정책 : 아시아로의 귀환?

Asia Pacific Strategy of the Obama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Returning to Asia?

국제관계연구 | 16 | 2 | 2011 | 정치외교학

제1장 북한문제의 성격과 한국 통일전략의 방향 - 인식의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 -

The True Nature of th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nd ROK's New North Korea Policy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1장 북한문제의 성격과 한국 통일전략의 방향 - 인식의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 -

The True Nature of th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nd ROK's New North Korea Policy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북한 미사일문제에 대한 일본의 관점 - 노동1호, 대포동1·2호, 광명성2호 발사에 대한 반응과 조치 -

Japanese Reaction on North Korea’s Missile Issues

국가안보와 전략 | 11 | 2 | 2011 | 정치외교학

중국의 대북정책과 동맹의 딜레마: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hina’s Relationship with DPRK and a Dilemma of Alliance: Focused on the Sinking of ROK Ship Cheonan

현대중국연구 | 12 | 1 | 2010 | 중국

중국의 대북정책과 동맹의 딜레마: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hina’s Relationship with DPRK and a Dilemma of Alliance: Focused on the Sinking of ROK Ship Cheonan

현대중국연구 | 12 | 1 | 2010 | 중국

광주․전남지역 초등교육 현장의 통일문제 관련 의식 조사연구

Study on the National Reunification Problems Oriented Consciousness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eld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s

한국동북아논총 | 1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Resolving the North Korean Question: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북한 문제에 대한 한 해결 방안: 구성주의 시각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1 | 2012 | 정치외교학

제3장 북한 당대표자회 이후 북한정세와 남북한관계 전망

North Korea's Situation and Prospect of the South-North Korea's Relation after the meeting of the Workers' Party's representatives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3장 북한 당대표자회 이후 북한정세와 남북한관계 전망

North Korea's Situation and Prospect of the South-North Korea's Relation after the meeting of the Workers' Party's representatives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