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의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남북관계와 통일정책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esirable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Policy in The Viewpoint of Nationalism
윤리연구 |
1 |
84 |
2012 |
학제간연구
동북아 질서에 대한 북한의 법제도적 시각
North Korean Legal System's Perspective on Order in Northeast Asia
국방연구 |
55 |
3 |
2012 |
정책학
한‧러 수교 이후 러시아의 한국 인식-러시아 대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Perceptions of Russ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focusing on Russian university textbooks
국제지역연구 |
14 |
3 |
2010 |
지역학
한‧러 수교 이후 러시아의 한국 인식-러시아 대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Perceptions of Russ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focusing on Russian university textbooks
국제지역연구 |
14 |
3 |
2010 |
지역학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이 한반도 비핵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North Korea's Policy of the Rho Tae Woo Government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통일전략 |
12 |
2 |
2012 |
북한정치/통일
동북아 질서 변화에 대한 북한의 법인식
North Korean Legislative Perspective on Changes in Northeast Asian Order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동북아 질서 변화에 대한 북한의 법인식
North Korean Legislative Perspective on Changes in Northeast Asian Order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6・25전쟁과 한국의 안보정책: 지속과 변화
The Korean War and South Korean Security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국방정책연구 |
26 |
1 |
2010 |
정책학
6・25전쟁과 한국의 안보정책: 지속과 변화
The Korean War and South Korean Security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국방정책연구 |
26 |
1 |
2010 |
정책학
북한의 권력승계와 남북관계의 전망
Power Succession in North Korea and Prospectiv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북한의 권력승계와 남북관계의 전망
Power Succession in North Korea and Prospectiv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한국현대사의 논쟁에 대한 재평가와 교과서 수록 방안
How to Interpret Controversial Issues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ew History Textbooks
역사학보 |
205 |
2010 |
역사학
한국현대사의 논쟁에 대한 재평가와 교과서 수록 방안
How to Interpret Controversial Issues of Modern Korean History in New History Textbooks
역사학보 |
|
205 |
2010 |
역사학
북한에서의 남한연구 현황과 특징 : 대북·통일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에서의 남한연구 현황과 특징 : 대북·통일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박정희, 김대중의 국가이익과 한미관계 : 동맹-자주의 ‘분절’ 혹은 ‘통합’
PARK Chung-hee's and KIM Dae-jung's Idea on National Interest and the ROK-U.S. Relations: Segmentation or Integration between 'Alliance' and 'Independence'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박정희, 김대중의 국가이익과 한미관계 : 동맹-자주의 ‘분절’ 혹은 ‘통합’
PARK Chung-hee's and KIM Dae-jung's Idea on National Interest and the ROK-U.S. Relations: Segmentation or Integration between 'Alliance' and 'Independence'
세계지역연구논총 |
28 |
1 |
2010 |
정치외교학
Dancing with the Stars: China, the United States, and North-South Korean Relations, 1991-2004
별들과의 춤을: 1991-2004동안 중국, 미국,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
45 |
6 |
2011 |
정치외교학
한․중 외교정책 전망
South Korea and China's foreign policy outlook
Oughtopia (오토피아) |
26 |
3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이명박 정부 이후 보안경찰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Change of Security Police and Policy Implications since Lee Myung-bak Government
한국범죄학 |
6 |
1 |
2012 |
경찰행정
‘문선명 총재-김일성 주석 단독회담’의 역사적 의미와 평가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ssessment on the Summit-level Meeting between Moon Sun-myung (President of FFWPU) and Kim Il-sung (Leader of North Korea / Eternal President of DPRK)
평화학연구 |
13 |
1 |
2012 |
정치외교학
탈냉전과 한반도 평화 그리고 민주주의
Peace Regime of Korean Peninsula in Post Cold-War Era and its Implication for Democracy
평화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탈냉전과 한반도 평화 그리고 민주주의
Peace Regime of Korean Peninsula in Post Cold-War Era and its Implication for Democracy
평화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남북합의서의 법제화 방안 연구
The Study on Plans to Legalize Inter-Korean Agreements
법과정책 |
18 |
1 |
2012 |
기타법학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Laws on Korea Re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Constitutional Evaluation of Laws on Korea Re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분단과 한국의 외교: 주변 4강과의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Division on Korean Foreign Policy: An Analysis on Summit Meeting with Surrounding Four Power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분단과 한국의 외교: 주변 4강과의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Division on Korean Foreign Policy: An Analysis on Summit Meeting with Surrounding Four Powers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탈북자 정착지원에 관한 법적대응과 과제
Legal Ac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It's Tasks
안암법학 |
32 |
2010 |
법학일반
탈북자 정착지원에 관한 법적대응과 과제
Legal Ac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It's Tasks
안암법학 |
|
32 |
2010 |
법학일반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검토와 이명박정부의 통일정책 변화 방향
Unification Policies of the Previous Governments, and Change Direction of Unification Policy of Lee, Myung Bak's Government
국제정치연구 |
14 |
2 |
2011 |
사회과학
북미관계와 한반도 평화체제: 역사적 고찰
North Korean-US Relations and the Peace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A Historical Inqui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2 |
2012 |
정치외교학
한반도‘안보-안보부재’의 정치학: ‘한미-남북’관계의 모순적 결합
Politics of Security and In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 Contradictory Connection between Korea-US Relations and North-South Korean Relations
한국정치학회보 |
45 |
2 |
2011 |
정치외교학
Changes in North Korea and Situations on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N. Korea’s sovereign hereditary, economy, nuclear issues and relations with S. Korea
북한의 변화와 한반도 정세: 세습, 경제, 북핵, 남북관계를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2 |
2011 |
정치외교학
“朝鮮半島新和平構想”與朝韓關係
한반도 신평화구상과 남북관계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朝鮮半島新和平構想”與朝韓關係
한반도 신평화구상과 남북관계
동북아연구 |
25 |
1 |
2010 |
국제관계/협력
제3장 통일환경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Issues and Challeng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Unification Environments
통일전략 |
11 |
4 |
2011 |
북한정치/통일
콕스가 휴전선에 간 까닭: 한반도 비평화 구조와 그 작동양식
Why Robert Cox Has Been to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The Structure Against Peace and Its Operational Pattern in the Korean Peninsula
한국과 국제정치 |
28 |
3 |
2012 |
정치외교학
천안함 사건 이후 나타난 남남갈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henomenon of South-South conflict after the Cheonan incident
Oughtopia (오토피아) |
26 |
1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Resolving the North Korean Question: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북한 문제에 대한 한 해결 방안: 구성주의 시각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1 |
2012 |
정치외교학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소고 : 쟁점 및 평가
A Study on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Issues and Assessment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2 |
2012 |
정치외교학
사회통일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 거버넌스(governance) 구축을 중심으로
The Actual Condition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Field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Governance
윤리연구 |
1 |
82 |
2011 |
학제간연구
조선반도 평화 안정을 위한 중국의 역할과 전망
Roles of China for Korean Peninsular Peace
북한학보 |
35 |
1 |
2010 |
북한
조선반도 평화 안정을 위한 중국의 역할과 전망
Roles of China for Korean Peninsular Peace
북한학보 |
35 |
1 |
2010 |
북한
The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s on Unification during the Early Post-Cold War Er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Sector
탈냉전 초기 통일논의의 전개와 수렴: 정부와 민간의 경쟁과 공존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1 |
2012 |
기타역사일반
남북관계와 미북관계의 갈등과 협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 탈냉전기 한ㆍ미의 역대 행정부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ter-Korean and the U.S.-North Korean Conflict-Cooperation Relations: Assessing the Role of Presidential Strategi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비교민주주의연구 |
7 |
1 |
2011 |
정치권력/정치과정
미국 대외정책에서의 체제전환정책과 한국적 함의
The U.S. Regime Change Policy and Its Implication to Korea
국가안보와 전략 |
12 |
2 |
2012 |
정치외교학
통일준비 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 학계 통일준비 공론화 사업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n Unification Prepar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Unification Preparation in Academic Field
평화학연구 |
13 |
3 |
2012 |
정치외교학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약칭:북민협)’의 네트워크 구조 및 동학: 한국정부와의 관계 및 조직 내부 분석을 중심으로
Network Structure and Dynamics of ‘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KNCCK)’: Focusing on Analysis of Inside Organization, Relationship with Korean Government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약칭:북민협)’의 네트워크 구조 및 동학: 한국정부와의 관계 및 조직 내부 분석을 중심으로
Network Structure and Dynamics of ‘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KNCCK)’: Focusing on Analysis of Inside Organization, Relationship with Korean Government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동북아 정세 변화와 이주민 정책
Immigration Policy According to Changing Circumstances in Northeast Asia
동북아연구 |
26 |
2 |
2011 |
국제관계/협력
남북한의 ‘국가보훈’에 대한 인식과 그 특성 비교
A Comparison with Realization and Characteristic in National Merit Reward of South and North Korea
북한학보 |
37 |
1 |
2012 |
북한
평화지수를 통해 본 남북한 관계에 있어서 미국의 역할: 협력의 촉진자인가 분쟁의 유발자인가?
American Role on Inter-Korean Relationships: Does the U.S. facilitate Cooperation or Dispute between two-Koreas?
국제지역연구 |
14 |
4 |
2011 |
지역학
제7장 Lips and Teeth, Old Friends and New Friends - China’s 'Two Korea' Policies in the Post Cold War Era -
Lips and Teeth, Old Friends and New Friends
통일전략 |
11 |
4 |
2011 |
북한정치/통일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Desirable Path for Future Development
한국의 대북정책: 미래의 발전을 위한 제언
신아세아 |
17 |
1 |
2010 |
정치외교학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Desirable Path for Future Development
한국의 대북정책: 미래의 발전을 위한 제언
신아세아 |
17 |
1 |
2010 |
정치외교학
남북관계의 현황과 과제에 따른 발전방향 :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Relations of North and South Korea :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Since the Launching of Lee Myung-bak's Government
평화학연구 |
12 |
3 |
2011 |
정치외교학
양안 교류협력이 남북관계에 주는 함의: ECFA와 관련하여
Implication of the Cross-Strait Relations and ECFA to Inter-Korean Relations
통일정책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추진국면과 과제
The Implementing Phase and Task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추진국면과 과제
The Implementing Phase and Tasks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한·중 관계의 발전추세와 전망: 바람직한 중국정책을 위한 시론(試論)
Developmental Trends of Sino-South Korean Relations and Its Prospect: A Proposal of South Korea's China Policy
국제.지역연구 |
20 |
1 |
2011 |
정치외교학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쟁점과 해법 - 국제사회 개입의 관점에서 -
Issues and Solutions on Human Rights Problem of North Korea
정치·정보연구 |
14 |
2 |
2011 |
정치외교학
남북한과 <역사비평>: 25년의 성과와 방향
Two Koreas and : 25 Years of Achievements and Direction
역사비평 |
100 |
2012 |
역사학
Rebuilding Inter-Korean Relations: Prospects for an Inter-Korean Summit in the post-Chonan Incident Era
남북관계 복원하기: 포스트 천안함 시대의 남북정상회담 전망
평화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Rebuilding Inter-Korean Relations: Prospects for an Inter-Korean Summit in the post-Chonan Incident Era
남북관계 복원하기: 포스트 천안함 시대의 남북정상회담 전망
평화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국제사회이론 관점에서 본 남북관계의 역사와 발전 전망
The History of North-South Korean Relations and Prospect of Its Fu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International Society
국제정치논총 |
52 |
3 |
2012 |
정치외교학
제6장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Desirable Direc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제6장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통일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Desirable Direc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통일전략 |
10 |
3 |
2010 |
북한정치/통일
남북기본합의서 이행과 국제환경: 미북관계를 중심으로
Fulfilling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Focusing on the U.S.-North Korean Relations
통일정책연구 |
20 |
1 |
2011 |
정치외교학
An Awkward Trio: The Two Koreas and China
어색한 협연: 남한, 북한, 중국의 3자 협력 가능성
신아세아 |
18 |
2 |
2011 |
정치외교학
남북관계의 현실과 국가의 평화통일의무
Reality of the South-North Relationship and National Duty of Peaceful 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남북관계의 현실과 국가의 평화통일의무
Reality of the South-North Relationship and National Duty of Peaceful Unification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남북 사회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
Social and Cultural Interchange for the Inter-Korean Integr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남북 사회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
Social and Cultural Interchange for the Inter-Korean Integr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냉전시대 한반도 갈등 관리의 첫 실험, 7.4 남북공동성명
The 7.4 Joint Communique: An Experiment in Inter-Korean Conflict Management
북한연구학회보 |
16 |
1 |
2012 |
정치외교학
남북관계 전략적 상호작용과 남북기본합의서 이행: 시스템 다이내믹스 분석과 전망
Strategic Interaction of Inter-Korean Relationship and Implement of South-North Basic Agreement: An Analysis and Prospect Basing on System Dynamics
통일정책연구 |
20 |
1 |
2011 |
정치외교학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 이행 실태 분석: 1990년대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 형성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of North and South youth exchanges and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North and South relationship: Focused on the formative period of 1990s exchanges and cooperation for the North and South youth
미래청소년학회지 |
7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 이행 실태 분석: 1990년대 남북 청소년 교류·협력 형성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of North and South youth exchanges and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North and South relationship: Focused on the formative period of 1990s exchanges and cooperation for the North and South youth
미래청소년학회지 |
7 |
3 |
2010 |
기타사회과학
KAL 858기 테러사건과 남북긴장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Bombing of Korean Air Flight 858 and the Resulting Ten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동북아연구 |
26 |
1 |
2011 |
국제관계/협력
대북정책 결정과정과 국회의 역할
ROK Government's Policy to the North and the Role of National Assembl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2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