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문화

연구분야 : B190503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커뮤니케이션학 > 정치커뮤니케이션
B190502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커뮤니케이션학 > 휴먼커뮤니케이션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465

한자 : 討論文化
영어 : debate 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공감 [ 共感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토론 교육 [ 討論敎育 ]

退溪와 高峯의 四七論辨을 통해본 讀書法 論爭

An Argument on Method of Reading by Way of Sachilnonbyeon between Toegye and Gobong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退溪와 高峯의 四七論辨을 통해본 讀書法 論爭

An Argument on Method of Reading by Way of Sachilnonbyeon between Toegye and Gobong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바람직한 토론문화를 위한 토론대회의 패러다임 전환 제안

Proposal of Paradigm Shift on Debate Tournament for Desirable Debate Culture

한국소통학보 | 14 | 2010 | 휴먼커뮤니케이션

바람직한 토론문화를 위한 토론대회의 패러다임 전환 제안

Proposal of Paradigm Shift on Debate Tournament for Desirable Debate Culture

한국소통학보 | | 14 | 2010 | 휴먼커뮤니케이션

토론문화 활성화를 위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선거방송토론위원회를 중심으로

Efforts by the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Commission to Establish a Culture of Debate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20 | 2011 | 정치커뮤니케이션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정체성-프랑스 방송 문화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Une réflexion sur l’indentité de la télévision coréenne:une analyse comparative de la construction de l’identité télévisuelle en Corée du sud et en France

영상문화 | 16 | 2010 | 학제간연구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정체성-프랑스 방송 문화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Une réflexion sur l’indentité de la télévision coréenne:une analyse comparative de la construction de l’identité télévisuelle en Corée du sud et en France

영상문화 | | 16 | 2010 | 학제간연구